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철강업계, 수입산 짝퉁ㆍ불량 철강재 공동 대응
-철강 원산지 표시대상 확대…중국산 불량품 차단


[헤럴드경제=박수진 기자] 정부와 철강업계가 수입산 불량 철강재의 유통을 막기 위해 원산지 표시대상 품목을 확대하는 등 공동 대응에 나선다. 또한 최근 한국산 유정용 강관에 대한 미국의 반덤핑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공동 대응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이관섭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27일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열린 철강산업 현안 점검 간담회에서 “수입 짝퉁, 불량 철강재가 국내 철강산업의 건전한 성장은 물론 건물 안전에도 위해 요인이 된다”며 원산지 표시대상 품목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도금강판, 스테인리스강, 형강 등 일부 품목으로 제한된 원산지 표시 대상에 중국산이 많이 들어오는 철근, 보론강(붕소를 첨가한 특수강) 등을 4분기 중추가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관섭 제1차관 주재로 8월 27일 오후 3시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포스코 김진일 사장, 현대제철 우유철 사장, 동국제강 남윤영 사장 등 국내 주요 철강사 CEO 등 약 20명이 참석한 가운데 “철강산업 현안점검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철강협회>

산업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은 26일부터 국내에 유통되는 건설용 철강재가 국가표준(KS) 기준에 맞는지, 원산지 표시기준을 지키는지 조사하고 있다.

철강업계는 최근 한국산 유정용 강관에 대한 미국의 반덤핑 조치와 관련, 정부 차원의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대응책을 요청했다.

이 차관은 “미국의 반덤핑 조치가 대미 수출에 미치는 차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법률 쟁점을 검토하고 업계와 협력해 효율적인 대응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각국의 수입규제 조치가 확산하고 후발국의 기술 추격이 가속하는 상황에서 기존 저부가가치 제품으로는 우리 철강산업의 장기적 성장을 담보할 수 없다”며 “민관 공동으로 특수 금속소재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김진일 포스코 사장, 우유철 현대제철 사장, 남윤영 동국제강 사장, 김원갑 현대하이스코 부회장, 이종근 동부제철 부회장, 오일환 한국철강협회 부회장 등 국내 주요 철강사 CEO 20여명이 참석했다.

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