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요우커ㆍ조선족 증가로 환전商 2년연속 늘어 1323곳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올해 중국인 관광객(요우커ㆍ遊客)과 조선족을 비롯한 체류 외국인이 증가하면서 환전상(환전영업자)이 빠르게 늘고 있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말 현재 전국의 환전상 수는 1323개로 작년 말보다 48개나 늘었다.

환전상 수(연말 기준)는 2009년 1424개를 정점으로 단위농협이나 새마을금고 등의 외국환 취급기관 전환과 맞물려 2012년 1207개까지 줄고서 연간 68개가 늘어난 작년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올해 증가세는 한국을 찾는 요우커 등 외래 관광객이 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은 관계자는 “환전상은 주로 외국인을 상대로 외화매입 영업을 하는 만큼 중국인 등 관광객 증가가 가장 큰 요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광 목적의 입국은 아니지만 중국 국적의 조선족을 중심으로 체류 외국인이 늘어난 것도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 7월말 현재 관광객, 근로자 등 합법적으로 체류 중인 외국인(143만5289명) 가운데 이른바 조선족인 한국계 중국인은 55만3645명(38.6%)에 달했다. 이는 1년 전(45만3634명)보다 10만명(22.0%) 가량 증가한 것이다.

특히, 올해들어 신설된 서울시내 개인 환전상 34곳 중 절반이 넘는 18곳은 구로구 구로동ㆍ가리봉동, 영등포구 대림동, 금천구 독산동 등 조선족 밀집지역에 있어 체류 조선족 상대의 환전 수요 증가를 반영했다.

최근 환전상 증감 추이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544개)은 올해들어 41개나 늘었고 ▷인천(61개)은 8개 ▷부산(111개), 대전(20개), 충남(세종시 포함ㆍ26개)은 2개씩 ▷대구(37개), 경기(210개), 강원(46개)은 1개씩 증가했다. 반면 전남(27개)은 7개가 줄고 경남(47개)은 3개, 광주(18개)와 제주(90개)는 각각 2개, 경북(32개)은 1개가 감소했다. 울산(16개)과 전북(15개)은 변동이 없었다.

환전상 유형별로는 호텔숙박업소가 겸영하는 환전상이 450개로 가장 많고 ▷개인 환전상 378개 ▷백화점, 마트 등 판매업소가 겸영하는 환전상 187개 ▷농·수협 단위조합, 신협, 새마을 금고 등이 143개를 각각 차지했다. 이어 ▷여행사나 음식점, 부동산중개업소 등 기타 업소 겸영 환전상이 118개 ▷법인 환전상 31개 ▷카지노업 16개 등 순이다.

환전상은 과거 한때 인가 대상이었지만 현재는 일정 기준의 영업장만 갖추고 등록만 하면 영업할 수 있으며 은행 등 외국환 취급기관과는 달리 외국통화의 매입업무 등 제한적인 외환 업무를 취급한다.

한편, 정부는 환전상과 주로 거래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환전 편의를 제고해 관광 수입을 늘리려는 취지로 환전업자의 영업에 대한 규제 완화를 추진하기로 해 환전상의 증가세는 한층 더 탄력받을 것으로 보인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