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인 근로시간 주5일제 근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다. 연간 2163시간…OECD 국가중 맥시코 이어 2위
[헤럴드경제=하남현 기자]주 5일 근로제 도입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의 근로시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멕시코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한국인의 일하는 시간은 OECD 평균의 1.3배에 이르고, 근로 시간이 가장 적은 네덜란드의 1.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근로시간은 통계가 나온 2000년부터 2007년까지 8년 연속 부동의 1위를 기록하다가 2008년 멕시코에 1위 자리를 넘겨줬다.

25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근로자들이 일한 시간은 평균 2163시간으로, OECD 34개 회원국 중 멕시코(2237시간)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이어 그리스(2037시간)와 칠레(2015시간)가 2000시간이 넘어 나란히 3, 4위를 기록했다.

뒤이어 폴란드 1918시간, 헝가리 1883시간, 에스토니아 1868시간, 이스라엘 1867시간, 터키 1832시간, 아일랜드 1815시간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또 미국(1788시간)과 체코(1772시간), 슬로바키아(1770시간)가 OECD 평균인 1770시간을 전후로 근소한 차이를 두고 11~13위를 차지했다. 일본(1735시간)과 영국(1669시간)은 평균치 이하를 기록했다.

근로시간이 가장 적은 곳은 네덜란드로 1380시간에 불과했다. 독일(1388시간)과 노르웨이(1408시간), 덴마크(1411시간), 프랑스(1489시간) 등 유럽의 주요 선진국도 근로시간이 대체로 적었다. 유럽의 경우 긴 여름휴가를 갖는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0년 한국은 2512시간으로, 멕시코(2311시간)를 큰 격차로 따돌리고 1위를 기록한 뒤 2007년까지 내리 8년을 1위 자리를 내주지 않았지만 2008년 2246시간으로 줄어들면서 그 해 멕시코(2260시간)에게 1위 자리를 빼앗겼다. 2004년 7월 주 5일 근무제가 시행된 뒤 근로시간이 차츰 단축된 영향이 컸다. 또 세계 금융위기를 겪으며 실업률이 오르고 시간제 근로자가 증가한 것도 근로시간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한국인들의 근로시간은 조금씩 줄고는 있지만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다. 지난해 공휴일이 116일인 것을 고려하면 한국 근로자의 평일 하루 평균 근로시간은 8.7시간이다. 노르웨이 근로자가 지난해 한국 근로자와 같은 일수만큼 일했다고 가정하면 하루 평균 근로시간은 불과 5.5시간이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