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배워야 살아남는데…생계형 창업자는 ‘교육사각지대’ 방치
진입문턱 낮은 음식·숙박업 등
생계유지형 83% ‘묻지마 창업’

정부 기술창업 교육지원만 집중
은퇴자 대상 시니어교육 17% 불과
초·중등 교과과정 등 반영 바람직


#지난 2012년 중진공으로부터 5000만원의 청년전용창업자금과 전문가 멘토링을 지원받아 누룩발효커피 및 저카페인 더치커피 생산기업 ‘크레이브잇’을 창업한 김지훈 대표는 최근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창업 전문가와의 치밀한 사전상담과 시장조사를 통해 ‘저카페인’이라는 제품 특성을 강조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펼친 결과, 카페인에 민감한 임산부로까지 고객층이 대폭 확대되면서 사업이 급격히 확장하고 있어서다. 창업 당시 200만원에 불과했던 크레이브잇의 매출은 지난해 1억1300만원으로 늘어난 데 이어, 올 상반기에는 2억여원으로 급증했다.

‘교육받은 창업’의 힘이 가시적인 성과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정부의 창업 활성화 정책으로 올해 상반기 신설법인이 200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초로 4만개를 돌파하는 등 신규 창업이 폭증하고 있는 가운데, 단계별 창업 멘토링과 컨설팅, 관련 업계 CEO 모임 연계 등 지원을 받은 창업기업들이 속속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중기청이 지난달 발표한 ‘2013 창업기업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자금 및 판로개척, 창업교육 등 정부의 정책지원을 비교적 받기 쉬운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평균매출은 7억1000만원으로 도ㆍ소매업 및 음식ㆍ숙박업 창업의 평균매출(도ㆍ소매업 4억7000만원, 음식ㆍ숙박업 1억원) 보다 월등히 높았다. 기술기반 창업의 부가가치 창출력이 일반 서비스업보다 높을뿐 아니라, 다양한 창업교육을 통해 기술 적용 방향을 명확히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접목함으로써 성공의 기회를 대폭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생계형 창업이다. 이른바 ‘먹고살기’ 위한 생계형 창업은 초기 진입이 쉬운 도ㆍ소매업과 음식ㆍ숙박업 등 일반 서비스업종에 집중된다. 중기청이 지난해 4~7월 전국 1만490개 소상공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생계유지’를 위해 무작정 창업에 뛰어든 소상공인은 82.6%에 이르렀으며, 전체 표본 중 도ㆍ소매업 및 음식ㆍ숙박업, 기타 개인서비스업 종사자는 59%에 달했다. 생계형 창업자가 기술창업 기업에 비해 낮은 부가가치 창출력을 극복하고 생존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창업교육 기회를 확충해야만 하는 상황인 것.

그러나 대부분의 정부기관 및 금융권의 창업교육 지원 시스템은 직접 자금을 지원한 소수의 업체나 창업 파급 효과(일자리 창출 등)가 큰 기술창업에 국한돼 있는 실정이다. 중기청 산하 창업진흥원이 대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창업아카데미’와 만 40세 이상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시니어창업스쿨’ 등을 운영하고 있기는 하지만, 모든 창업교육 수요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실제 중기청이 지난 2010년 은퇴자 및 은퇴 예정자 1104명을 대상으로 ‘시니어창업 실태’를 조사한 결과, 창업교육을 필요로 하는 시니어는 97%에 달했지만, 창업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시니어는 단 17%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석세스 코칭’ 프로그램에 참가한 청년창업자들이 특허, 법률, 회계, 디자인, 마케팅, 벤처캐피탈(VC) 투자상담, 인사노무 등 각 분야릐 전문가로부터 개별 상담 및 교육을 받고 있다. 석세스 코칭은 청년전용창업 자금 지원의 사후 관리 및 교육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이다. [사진제공=중소기업진흥공단]

초ㆍ중ㆍ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업교육 역시 부진하기는 마찬가지다. 정부가 조기 창업교육을 위해 초ㆍ중등 교육과정에 ‘진로와 직업’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지만, 지난해 말 기준 이 교과목의 선택ㆍ도입한 학교는 전국 중학교의 45.2%(1331곳), 고등학교의 37.8%(844곳)에 그쳤다. 일선 대학의 창업강좌 수 역시 총 2582개(2011년 기준, 2013 대학산학협력백서)로 290~300만명에 달하는 전체 대학생의 규모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배영임 중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기술창업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창업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생계형 일반창업”이라며 “이들이 혁신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거나 안정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특화 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창업 인프라 구축차원에서 초ㆍ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업교육도 활성화 해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슬기 기자/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