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영토확장 ‘마이스산업(MICE : 전시·컨벤션·관광 결합 산)’ 내년 큰場 기다린다
한·중FTA 타결땐 경제영토 최대
일반 관광객보다 더 큰 효과…제조업 기반 강화 시너지 기대도

행사 난립 · 지역분산 해결 급선무…유사 전시 통합 조정기구 절실



전시ㆍ컨벤션과 관광 등이 결합된 ‘마이스(MICE)산업’이 내년 최대 호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ㆍ중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내년 우리나라 경제영토가 사상 최대로 넓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정부도 2010년 이후 G20 정상회의에 따른 마이스산업 육성정책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마이스 참가자 1인당 평균 소비액은 일반 관광객의 3.1배, 체류기간은 1.4배가 더 크다는 게 한국관광공사의 분석이다.

마이스산업이 중요한 것은 그 자체로서도 의미가 크지만 무엇보다 제조업 기반을 강화한다는 점이다. 전후 독일의 부흥도 하노버메세를 중심으로 한 전시산업의 국가적 육성에 기인하는 바가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전시회를 열고 관람객과 바이어를 끌어 들일 제품이 필요했고, 그것이 제조업을 더욱 강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2013년 10월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회 한국산업대전’ 전시 부스 전경. 한국기계전, 금속대전, 국제공구전, 자동차산업전, 용접기술전 등 5개 유사 연관 전시회가 2011년 이후 통합 개최돼 시너지효과를 높이고 있다

또 FTA를 극대화하고 기업간 기술 교류와협력을 촉진하는 등의 효과도 기대된다. FTA효과를 극대화하려면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위한 마케팅장(場)이 활성화돼야 하는데, 그것이 전시ㆍ컨벤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이스산업이야말로 위기에 몰린 국내 제조업 혁신의 계기가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조업혁신3.0 전략’도 마이스산업과 결합해 추진돼야 더욱 효과적이란 것이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박영탁 상근부회장은 20일 “독일이 전후 잿더미 위에서 하노버를 중심으로 전시산업을 먼저 일으켜 전시산업 강국이자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했다”며 “제조업 기반을 강화하고 국부를 늘릴 수 있는 고연관 서비스산업이란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육성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 마이스산업의 문제는 유사 전시ㆍ컨벤션 행사가 난립해 있고, 각 지자체 간 경쟁으로 인해 지역적으로 분산 개최된다는 점이다. 독일의 경우 아우마(AUMAㆍ전국전시산업협회)란 기구를 통해 행사 내용과 일정을 조정, 중복 개최를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그런 노력이 없다.

이밖에 각종 홍보성, 단발성의 관급 정책전시회도 전시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결과적으로 마이스산업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마이스산업 발전을 위해선 ▷유사전시의 통합 ▷전시지역의 통합 ▷정책홍보성 전시회 폐지가 절실히 요구된다.

실제 기계, 공구류 등 자본재 관련 기업들은 2011년 이후 통합 산업전시회를 열고 있다. 내년 10월 3회째 열리는 ‘한국산업대전’이 그것이다. 산업대전은 공장자동화기기, 공작기계, 플랜트기자재, 부품소재, 공구, 금형, 금속설비, 자동차부품, 산업용로봇 등 핵심 자본재들을 한자리에서 통합해 격년으로 열리고 있다.

그 결과 첫회 1368개이던 참가업체 수는 2회(2013년) 1498개로 늘었다. 3회 때는 1500개 사에 이를 것으로 주최 측은 예상하고 있다.

킨텍스 관계자는 “유사 중복 전시회가 너무 많아 해외에 내놓을(브랜드화 할) 전시회가 거의 없다. 따라서 해외 유명 전시회와 달리 각종 30여분 보면 다 볼 정도로 콘텐츠가 부족한 게 문제”라며 “전시회를 통합 조정하고, 전시를 기획하는 전문회사도 절실하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황병소 무역진흥과장은 “산업대전은 유사전시회의 통합 개최를 통해 성장한 좋은 모델”이라며 “세계적인 전시회로 성장시키기 위해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 발효 중인 곳은 미국 EU 아세안 칠레 등 9개 권역 48개국에 이른다. 호주 캐나다 콜롬비아와도 타결돼 발효를 앞두고 있으며, 중국과도 연내 타결과 내년 발효가 가능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어 경제영토는 사상 최대가 된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