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비위축 고령층 지갑 열 방법은?
금융硏‘ 소비활성화 대책’보고서
부동산 하락이 소비 심리 위축…경제활동 늘려 소비진작 급선무

은퇴후 재고용통해 공백 최소화…공적연금제 · 보험상품 출시도 필요



세월호 참사 이후 소비심리가 바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고령가구의 소비 하락이 전체 소비 하락을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고령층의 증가로 소비시장에서 고령층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는 만큼 소비가 가장 크게 위축된 60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일자리 확보 등의 ‘맞춤형 소비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지난 10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고령층 소비 증대를 위한 정책방향’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는 청년과 중장년층에겐 가계대출을 확대하는 게 민간소비를 늘리는 효과적 방안이 되겠지만, 고령층의 경우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최근 소비심리 바닥의 핵심은 60대 이상 고령층의 소비심리 하락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감소한 이들의 소비심리를 살리는 것이 경제활성화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60세 이상 고령층의 소비성향(소득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율) 하락폭은 전 연령대 중 가장 크다. 2003∼2013년 전체 소비성향이 5.0%포인트 떨어지는 동안 60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7.4% 하락했다.

같은 기간 60세 이상 인구의 소득증가율은 0.02%포인트 늘어 큰 변화가 없었으나, 소비증가율은 1.21%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증가율 하락폭 또한 60세 이상이 전 연령층에서 가장 크다.

반면 소비시장에서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고령층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는 627만3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7만5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도 1년 전 보다 35만명 늘어난 613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고령층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도 각각 55.1%와 53.9%로 높아졌다. 1년 전보다 각각 1.1%포인트, 0.9%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임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노후 대비용 자산가치가 하락하면서 고령층의 소비심리가 위축됐다”며 “민간소비 확대를 위한 정책의 하나로 고령층 소비를 진작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임 연구원은 우선, 은퇴 이전보다 수준은 낮더라도 안정적 소득을 유지할 수 있는 일자리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금피크제 등을 도입해 퇴직 시기를 늦추고, 정년퇴직 이후에도 계약직 형태로 재고용하는 방식으로 소득 공백 기간을 최소화하자는 것이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불안한 노후대비로 인해 고령층이 재취업 한 뒤 번 돈을 노후자금으로 저축하는 경우가 많아 소비성향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소비심리가 좋지 않은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고령층의 소비성향이 급격하게 떨어진 데서 찾을 수 있다”며 “이들이 저임금임에도 노동시장에 다시 뛰어드는 이유는 부동산 경기침체와 금리하락에 따라 그동안 모아놓은 자산으로는 노후대비가 부족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공적 연금 제도 등 고령층을 위한 다양한 보험 상품 출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고령층의 주거 안정성과 소비 재원 확보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주택연금제도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황혜진 기자/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