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팬택, 멀고먼 회생의 길...법정관리 신청하나
[헤럴드경제]팬택 회생의 길이 험난하다. 이동통신사들이 팬택 스마트폰 추가 구매에 난색을 표시함에 따라 제품 판로가 막혀 추가 매출이 없는 상태에서 팬택은 법정관리(기업회생작업)를 선택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팬택은 이통사가 태도를 바꿔 단말기 추가 구매에 나설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 등을 고려해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쪽으로 내부 방침을 정한것으로 알려졌다. 11일 전자채권 200억원가량의 만기가 돌아오기 때문이다. 팬택은 이미 앞서 협력업체에 지급했어야 할 전자채권 360억원이 연체 중인상황이다.

다만 팬택 채권단 측은 “법정관리 신청은 회사가 결정해야할 사안”이라며 “법정관리 신청 결정과 관련해 팬택 측으로부터 전달받은 바 없다”고 전했다.

법정관리가 결정되면 법원이 팬택의 법정관리인을 지정하게 된다. 법정관리인은외부에서 지정될 수도 있고 팬택 경영진을 그대로 지정할 수도 있다. 이어 팬택은 두 달 안에 기업회생 계획안을 법원에 제출해 승인을 받게 된다.

팬택은 지금까지 워크아웃을 유지하는 쪽으로 역량을 쏟아왔다.

앞서 이준우 팬택 대표도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브랜드 가치가 훼손되고 협력업체의 연쇄 도산이 있을 수 있어 워크아웃을 통해 경영정상화를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며 “법정관리로 가는 것에 대한 계획은 현재 수립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법정관리 체제가 되면 팬택도 브랜드 가치 훼손과 인력 이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겠지만 협력업체들의 어려움도 가중될 전망이다.

실제로 이들 업체 다수는 팬택협력업체협의회 등 단체를 구성해 SK텔레콤앞에서 집회를 열고 청와대에도 박근혜 대통령에게 호소하는 문건을 보내는 등 팬택을 지원을 호소한 바 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