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제강점기 202개 기업에 5567명 강제 노무동원…60개 기업 현존
[헤럴드경제=서지혜 기자] 일제강점기에 국내에서 202개 기업에 5567명(중복동원 포함 6415건)의 사람들이 강제 동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60개 기업은 현존하는 일본 기업이다.

6일 국무총리소속 대일항쟁기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피해자 실태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지난 2005년 2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신고받은 15만5479건 중 조사가 마무리된 1만5031건의 사례를 동원해 조사한 결과 일제강점기 당시 국내에서 202개 기업에 5567명이 강제동원됐다고 밝혔다.

당시 미쓰비시, 미쓰이, 스미토모 계열사와 니혼제철, 닛테쓰 광업 등 신일본제철 계열사, 아소다로 현 일본 부총리의 집안인 아소광업출자회사 등 60개 기업이 아직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국내 4178명(중복동원 포함 4776건)이 이들 기업에 동원된 국내 노무동원피해자로 전체 피해조사 완결 건수의 31.7%에 이르는 규모다.

국내 기업 중에는 CJ대한통운(조선운송), 한진중공업(조선중공업), 경방(경성방직), 한전(경성전기) 등 4곳이 현존한다.

지역별로는 함경북도에서 1849건으로 가장 많은 동원이 이뤄졌고, 함경남도, 전라남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경상북도 등이 821건, 502건, 488건, 316건, 297건으로 뒤를 이었다. 이북5도의 피해는 총 3525건으로 전체의 73.8%를 차지했다. 정부 측은 한반도 북부에서 니혼질소비료(현 칫소)가 아오지 탄광과 흥남비료공장 등 8개 대형 작업장을 집중 운영했고, 하자마구미(현 하자마)가 수력발전소 공사를 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한편 직종별로는 탄광산에 1524건이 동원됐고, 토목건축에 1116건, 군사시설에 911건이 동원됐다. 공장, 철도도로가 757건, 428건으로 뒤를 이었다.

위원회 측은 “국내 노무동원을 징용으로 인식하지 않은 피해자들이 많아 신고가 부진했다”며 “조사 완료건은 국내 노무동원 피해규모가 650만 건에 달한다는 일본정부 통계의 0.23%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