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작용 없는 안전한 라식, 라섹 수술 위한 주의사항은?

레이저로 각막을 절삭해 시력을 교정하는 라식, 라섹 수술이 시행된 지 어느덧 30년 가까이 되었다. 그동안 레이저 기계와 수술 방법 등에 있어 괄목할 만한 발전을 했고 그에 따라 부작용도 줄어 시력 교정의 정확도가 눈에 띄게 높아졌다.

하지만 기본적인 수술 원리가 각막을 절삭해 얇게 만드는 것이므로 각막 돌출과 각막 혼탁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각막이 약해져서 안압을 버티지 못하고 밀려나와 발생하는 각막돌출은 라섹보다는 절편을 만든 후 레이저 조사를 하는 라식수술을 할 때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각막표면에 혼탁이 생겨 시력을 저해하는 각막혼탁은 상피를 벗겨낸 후 표면에 레이저 조사를 하는 라섹수술 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안전한 수술을 위해서는 의사들이 항상 강조하는 사항이 4가지가 있다. 첫째는 철저한 검사를 받는 것이다. 검사 과정이 정확하고 결과에 관한 의료진의 올바른 해석이 뒷받침 된다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런데 ‘그냥 병원에서 알아서 잘 해주겠지’하고 생각하거나, 수술시간이 짧고 회복도 빨라 간단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도 의외로 많은 상황이다. 안경을 맞출 때도 시력검사가 정확하고 눈에 맞아야 편하고, 잘 보이는 안경을 맞출 수 있는데 직접 각막을 절삭해 시력을 교정하는 라식 수술 전 철저한 검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라식, 라섹 등 각막을 절삭해 시력을 교정하는 수술은 그 원리가 가장 잘 보이는 각막의 중심부위를 렌즈모양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래서 레이저 각막성형술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므로 어떤 모양과 돗수의 렌즈모양을 만들지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검사가 중요한 것이다.

각막을 절삭해 얇게 만드는 수술이기 때문에 각막자체의 두께나 상태를 파악해 수술을 해도 안전한지 여부를 알아 보는 것으로 각막두께 측정, 각막지형도 검사가 대표적인 검사로 꼽힌다. 각막의 후면을 볼 수 있는 OCT, PENTACAM검사, 각막의 미세한 단면에서 세포까지 관찰하는 각막CT검사 등이 있다.

육안이나 현미경으로 각막을 관찰하는 것에는 그 정밀도에 한계가 있어 다양하고 정밀한 고가의 검사장비가 필요한 분야다. 어떻게 보면 기본적인 검사만 해도 수술을 하는데 별 문제가 되지 않는 이러한 부분에 병원마다 고액을 투자해 다양한 기계를 구비하는 이유는 수십만 분의 일도 안 되는 희박한 확률이지만, 각막돌출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에 확인을 거듭하기 위해서다. 최근에는 아벨리노 검사 등이 유전자 검사도 시행한다.

이밖에도 눈에 다른 이상은 없는지 검사를 하는 항목들이 있는데 안압, 시야, 백내장유무, 망막검사 등이 있으며, 이상이 있을 경우 치료 후 수술이 가능하나 시력교정 수술이 먼저가 아니라 눈의 질환에 대한 치료가 먼저 필요할 수도 있다. 수술 전 검사기록은 안전하게 수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얼마나 교정을 할 것인지 결정하는 기본이 되며, 가장 안전하고 적합한 수술방법과 수술기종을 선택하는 기준이 된다.

의사들이 강조하는 두번째 사항은 의료진의 경험과 정성이다. 의료진의 중요성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요즘 ‘공장형 안과’라고 불리는 대형안과들은 대표원장 밑에 수술경험이 많지 않은 봉직의사들이 대부분의 수술을 집도하는 경우가 많다.

수술과정도 문제지만 수술 후에 담당의사가 자주 바뀌어서 본인의 눈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어려우며 수술전의 상태에 대해서도 파악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먼저 병원 선택 시에 특히 병원전체의 수술실적보다는 실질적으로 수술을 집도할 담당의사의 경험과 실적을 비교해보고 결정해야 하며 의료진의 진실성과 책임감이 느껴져야 한다.

셋째는 레이저 장비다. 안정된 레이저 장비는 좀더 양질의 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 레이저는 성능이 전반적으로 예전보다 훨씬 우수하다. 최근 레이저 기종으로는 가장 인정받는 기종은 아마리스, 알레그레토 등이다.

넷째는 철저한 1대1 수술 후 관리다. 수술후의 상태는 수술을 집도한 담당의사가 가장 잘 알 수 밖에 없다. 담당의사에게 계속적인 진료가 가능한지를 사전에 잘 파악해야 한다. 또한 그 병원에서 수술받은 환자의 경험담을 들어보는 것도 좋다.

드림성모안과 정충기 원장은 “모든 수술 전후 과정에서 담당 의료진이 철저히 검사를 하고 정성을 다해서 수술을 한다면 각막돌출, 각막혼탁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은 미리 예방이 가능하며 수술 후 철저한 사후관리를 한다면 걱정 없이 편하고 좋은 시력을 회복할 수 있다”며 “요즘 여러 가지 이름을 붙여 저마다 가장 안전하고 좋은 수술이라고 내세우는 경우가 파다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기본에 충실한 것이 우선이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팀/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