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직장인 35% “퇴출압박 받은 경험 있다”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최근 주요 대기업을 중심으로 인력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있다. 실제로 직장인 10명 중 3명은 퇴출 압박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1041명을 대상으로 ‘퇴출 압박 경험’을 조사한 결과, 34.6%가 회사로부터 퇴출압박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주요 퇴출 압박 방법으로는 ‘과도한 업무지시’(28.1%, 복수응답), ‘인사담당자, 상사와의 개별면담’(24.4%), ‘일을 시키지 않음’(18.3%), ‘승진누락’(16.1%), ‘유언비어, 소문 퍼짐’(15.6%), ‘관련 없는 타부서 발령’(14.2%), ‘자리 비움 수시로 체크하는 등 과도한 관리’(13.3%), ‘연봉삭감’(10.8%), ‘회식제외 등 은근히 왕따’(10%) 등이 꼽혔다. 


본인이 퇴출 압박을 받은 이유에 대해서는 ‘회사 실적이 좋지 않아서’(31.4%, 복수응답), ‘상사와 마찰이 있는 편이라서’(25.3%)라고 생각하는 직장인이 많았다. ‘개인 성과, 실적이 안 좋아서’(16.9%), ‘소속 본부 및 부서가 축소돼서’(12.5%), ‘나이가 많아서’(10.3%), ‘잘 모르겠다’(7.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퇴출압박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으로는 ‘퇴사, 이직 충동’(63.9%, 복수응답), ‘자신감 상실’(46.9%), ‘상대적 박탈감’(37.8%), ‘삶의 의욕 상실’(35.8%), ‘예민해진 성격’(28.6%) 등이 꼽혔다.


퇴출 압박을 받은 후 실제로 퇴사한 직장인은 59.4%에 달했다. 압박받은 후 퇴사를 결심한 첫 번째 이유는 ‘회사에 정이 떨어져서’(30.8%)였다. 다음은 ‘자존심이 상해서’(18.2%), ‘압박을 버티기 힘들어서’(17.3%), ‘좋은 모습으로 나가고 싶어서’(10.8%), ‘더 좋은 회사로 갈 자신이 있어서’(8.9%) 등의 순이었다.

반면, 압박을 받고도 바로 퇴사하지 않은 직장인(146명)들은 그 이유로 ‘이직준비 후 나올 생각이라서’(47.3%), ‘퇴사 후 대책이 없어서’(18.5%), ‘대출금 등 경제적으로 어려워서’(17.1%), ‘다시 실력으로 인정받고 싶어서’(10.3%) 등을 선택했다. 


한편 전체 직장인 중 66.3%는 평소 회사로부터 퇴출당할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느끼며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