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만 잘하면 여름철 눈병 걱정없다!”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최근 전국적으로 유행성 눈병이 전국적으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여름철에 유행하는 눈병은 대부분 바이러스성이며, 강한 자외선에 의해서도 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우리의 눈은 눈꺼풀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으나 결막과 각막은 외부에 노출되면서 세균이나 유해물질에 감염되기 쉽다.

특히 여름과 같이 활동적인 계절이 되면 휴가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가게 되고, 서로 접촉이 많아져서 눈병이 잘 생기고 전염도 빠르다. 또 여름철 잦은 폭우로 비위생적인 환경에 자기도 모르게 노출될 가능성도 높고, 야외활동으로 서클렌즈 등 콘텍트렌즈 사용자가 많아지므로 이 또한 눈위생에 좋지 않아 눈병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여름철에 주의해야할 눈병의 증상과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유행성 각결막염’…심하면 인후통,설사, 시력장애 동반할 수 있어 주의해야

사람들이 안과를 방문하게 되는 가장 흔한 원인중 하나는 유행성 각결막염이다.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데 단순 결막염의 경우 평균 2~3주가 지나면 별문제 없이 낫지만, 각막염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시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전염성이기 때문에 한쪽 눈부터 시작되어 대부분 양안에 발생한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주로 여름에 유행이 되지만 요즈음은 1년 내내 볼 수 있다.

발병 초기에는 충혈, 통증, 눈물흘림 및 심한 이물감이 나타난다. 감염된 후 3~5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되며 대략 절반 정도에서 발병 후 5~14일 사이에 눈부심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는 각막중심부에 발생된 상피성 각막염 때문이다. 귀앞 림프선의 종창 및 통증이 있고 급성기에는 눈꺼풀이 붓거나 결막에 심한 충혈이 생긴다.

어린이는 인두통 및 설사를 동반하기도 한다. 증상은 1주 정도 까지는 심해지고, 그 후 대개 2~3주 사이에 좋아진다. 간혹 각막상피하에 혼탁을 남기게 되면 수개월간 시력 장애를 일으키지만 대부분은 후유증 없이 치유된다. 그러나 결막의 염증은 대개 3~4주까지 지속되며 발병 후 약 2주까지도 전염성을 갖는다. 회복기간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어 2~3주에서 1~2개월로 차이가 많다.

감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바이러스를 직접 사멸시키는 약제는 없기 때문에 냉찜질, 통증완화, 눈 주위를 청결하게 하는 대증요법이 주된 치료이다. 2차적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항생제 및 증상에 따라 가려움을 줄이는 항히스타민제 안약, 또는 자극감을 줄이는 인공누액성분 안약 등 적절한 안약제의 사용 외에는 특별한 치료가 없다. 표층 각막염 증세가 있으면 부신피질 호르몬제 안약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치료와 더불어 전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아폴로눈병‘(급성 출혈성 결막염)…사람많은 수영장에서 주로 감염, 개인위생 철저히해야

흔히 아폴로눈병이라고 부르는 급성 출혈성 결막염이 있다. 1969년 아폴로 11호 인공위성이 발사되던 해 아프리카 가나에서 처음 발병되어서 일명 ‘아폴로 눈병’이라고 한다.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며 매우 급속하게 발병하지만 병을 앓는 기간이 짧다. 결막하 출혈을 보인다는 점에서 유행성 각결막염과 구분되고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는 좀처럼 생기지 않는다. 자각 증상으로 안통, 눈부심, 이물감 및 눈물흘림을 호소하며 눈꺼풀의 부종이나 결막하출혈 또는 결막의 부종을 볼 수 있다. 환자의 25%에서는 열이 나거나 무력감, 전신근육통을 보이며 드물게는 하지가 마비되는 경우도 있다.

치료법은 유행성 각결막염과 비슷하다.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항생제 안약을 점안하고 눈꺼풀이 심하게 부으면 소염제를 복용하기도 하며 각막염이 있으면 부신피질 호르몬제 안약을 사용한다. 사람과 사람의 접촉에 의해 발병되므로 손을 자주 씻고, 전염이 되지 않도록 예방에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수영장 등에서 전염되므로 수영 후에는 개인위생을 깨끗이 해야 한다.


▶’인두결막염‘…일명 ’눈감기’ 어린이에게 주로 발병, 다른 사람이 사용한 수건 만지지 말아야

인두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여름철 아이들에게 흔히 발병하며 수영장에서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수영장에서 잘 걸리는 결막염으로 주로 물을 순환시켜 재사용하는 곳에서 잘 걸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감염 후 5~8일간의 잠복기간을 거쳐 발병하며 심한 이물감, 눈곱, 부종, 층혈 등의 결막염 증상 외에도 인두와 편도가 크게 붓고 고열과 두통, 오한, 설사를 동반한다. 또 콧물이 나오기도 하며 드물게는 기침과 가슴통증이 나타나 감기몸살로 오인하여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쳐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아 ‘눈감기’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물놀이시 물안경을 쓰고 다른 사람이 사용한 수건이나 물놀이 용품 등을 만지지 않는 것이 좋다. 외출후에는 비누로 자주 손을 씻어주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일단 인두성결막염에 감염되면 환자용 사물은 따로 사용하도록 하고, 환자 가족들은 가급적 눈을 만지지 말고 수시로 흐르는 물에 손을 비누로 깨끗하게 씻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자외선에 의한 각막염‘...뙤약볕에 오래 있어 각막상피 손상돼

산이나 바다에서 직사광선을 받게 되면 햇빛 속의 자외선에 의해 각막 상피에 손상을 입어 각막에 표층염증을 일으킨다. 또 낮에 용접일을 한 뒤 저녁에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자외선에 노출된 후 수 시간 후에 결막이 충혈 되고 뿌옇게 보이며, 때로는 눈이 몹시 붓게 되며 눈물과 통증이 나타난다.

대개 1~3일 후에는 증상이 소실되지만, 증상 치료를 위해서 차가운 찜질, 균의 감염예방으로 항생제 안약을 사용하는 게 좋다. 아울러 충분한 눈의 안정과 전신적인 휴식이 필요하다. 가능하면 뙤약볕에 나가는 것을 피하고, 밖에서는 자외선이 차단되도록 선글라스를 쓰고, 용접 일을 할 때는 보호안경을 쓰는 것이 좋다.

<도움말 : 한재룡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안과 교수>



<부속 박스> ’여름철 눈병‘ 은 전염성 강해... 지하철ㆍ버스 손잡이 통해서도 감염

여름철 감염성 안질환은 환자가 접촉한 물건을 통해서 옮기게 된다. 주로 분비물이나 수건, 옷 등의 매개물을 통한 직접 접촉으로 전염되므로 눈병에 걸린 환자와 친밀한 접촉을 하는 경우에는 감염될 확률이 높다. 불결한 물에 의해서도 전염될 수 있고 수영장에서 감염될 수도 있으나, 그냥 쳐다보는 것으로는 전염되지 않는다.

바이러스중 일부는 마른 상태에서도 4~5주간 생존이 가능하므로 여러 사람의 손이 닿는 부위, 예를 들면 버스 및 지하철 손잡이, 문손잡이, 의자, 잡지, 전화수화기 등을 통한 전파도 주의해야 하겠다. 외출에서 돌아오면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환자는 외출을 삼감으로써 타인에게 전염시키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가족 중에 환자가 있을 경우 수건을 따로 쓰는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며, 유소아의 경우에는 감기 예방법과 비슷하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