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린하우징> ‘밥’만 하던 부엌, ‘친환경ㆍ공동체 형성’ 패러다임 덧입다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지구촌에서 밥 짓는 공간이던 부엌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부엌을 가득 채우던 전자제품을 최소화함으로써 전기 등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다세대 주택 내 부엌을 공동 조리 공간으로 변모시켜 공동체도 되살리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독일의 수도 베를린에서는 최근 가옥 구조를 활용해 냉장고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부엌 한 켠을 차지했던 냉장고를 없애고 대신 지하저장고인 ‘켈러’를 사용하는 집이 늘고 있다. 이 곳은 햇빛이 직접 들어오지 않고 한여름에도 온도가 섭씨 13~14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음식물이 쉽게 상하지 않는다. 또 일반적으로 냉장고에 보관해야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시지, 마가린 등도 변치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성능도 우수하다.

전기 에너지 소비량을 줄여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려는 독일인들의 노력은 이 뿐만이 아니다. 부엌 내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전기오븐레인지를 대체하기 위해 최근 ‘테라프레타 오븐’(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생되는 열로 음식을 조리하는 오븐)을 사용하는 가정이 늘고 있다. 이 오븐은 나무와 친환경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성능 면에서는 전기 오븐에 전혀 뒤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
스웨덴 협동주택 내 공동부엌의 모습.

친환경 주방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시도는 스웨덴에서도 진행중이다.

국가 전체의 1인 가구 비율이 47%를 넘는 스웨덴, 그 중에서도 1인가구 비율이 60%로 세계 1위인 수도 스톡홀름에서는 최근 코하우징(협동주택)이 유행하고 있다.

스톡홀름에 위치한 한 협동주택인 ‘툴스투간’에 사는 주민들은 1층에 공동부엌을 만들어 사용하며 각자의 시간과 에너지를 동시에 절약하고 있다. 
스웨덴 협동주택 내 공동부엌의 모습.

현재 50여명의 주민이 함께 공동부엌을 사용 중인 이 곳에서는 매일 4명이 한 팀이 되어 요일별로 식사 준비를 수행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 주민들의 삶은 기존에 매일 집에서 1시간씩 요리할 경우 1인당 일주일에 5시간씩, 5주간 25시간을 들이던 것을 공동부엌을 사용한 뒤에는 5주에 1인당 2시간이면 충분하도록 변화시켰다. 이에 따라 조리 시에 사용되는 전기 및 가스 등의 에너지 소모량도 확연히 감소시켰다.

이런 방법을 통해 이곳 주민들은 각자의 집에서 생활하는 개인적인 사생활과 모두 모여 요리를 만들고 식사하는 공동체적인 삶도 누릴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리고 있다.

아시아 국가인 일본에서도 친환경 부엌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일본인들은 마을 호수와 연결돼 일명 ‘물의 부엌’이라 불리는 ‘카바타’의 수로에 잉어를 키우고 있다. 부엌에서 사용한 물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잉어가 먹도록 해 바로 호수로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