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이터랩] 기업24% “임단협 예년보다 힘들 것”
대한상의, 기업 200곳 설문…“교섭기간 줄어들것” 6% 불과
“최대쟁점은 ‘임금인상’ 53%…“하반기 불안요인 ‘통상임금’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이 예년보다 난항을 겪을 것으로 전망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4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쟁점은 임금인상률과 통상임금 포함 범위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들은 통상임금 범위 확대가 하반기 노사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31일 대한상의가 노동조합이 있는 기업 인사ㆍ노무 담당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014년 임단협 최대쟁점(복수응답)으로 ‘임금인상 및 복리후생확대’(53%)와 ‘통상임금 범위확대 및 재산정’(49%)이 꼽혔다. ‘근로시간 단축 및 교대제 개편’, ‘정년연장 및 임금피크제 도입’(이상 8%)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에 대한 입장 차가 크기 때문에 최대쟁점으로 떠오른 것”이라며 “노조는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항목을 최대한 넓히려는 반면 회사는 이를 단순화하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노사가 생각하는 임단협 핵심목표에도 차이가 있었다. 회사 측은 ‘통상임금 대비 임금항목 단순화’(42%)와 ‘연공성격 임금항목 축소 및 성과급 확대’(23%)를 주 목표로 꼽았다. 반면 노조 측은 ‘임금인상 및 복리후생 확대’(43%), ‘정기상여금 포함 등 통상임금범위 확대’(40%)를 핵심사항으로 요구했다. 노조는 임금인상률에, 회사는 통상임금 범위 확대 여부에 좀 더 집중하고 있는 셈이다.

조사 기업의 24%는 올 해 임단협 교섭기간이 과거 3년간 평균 기간보다 길어질 것으로 전망했으며 ‘줄어들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전체의 6%에 불과했다. 기업들이 예상하는 올 해 임단협 기간은 평균 2.7개월 정도였다.

하지만 대다수 기업들(86%)은 진통을 겪긴 해도 노사 자율합의로 임단협이 타결될 것으로 예상했다. 파업 및 파업 후 타결을 전망한 기업은 전체의 4.5%에 불과했다.

한편 통상임금 문제는 임단협 이후 하반기에도 기업 활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들은 하반기 노사관계 불안요인으로 ‘통상임금 범위확대’(57.5%)를 가장 많이 지목했으며, ‘근로시간 단축’(21.5%), ‘정년연장 및 임금피크제’(14.5%)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통상임금 확대, 근로시간 단축, 정년연장 등으로 인한 노동비용 증가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변동급 확대 등 임금조정’(39.5%)을 가장 많이 제시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상무는 “하반기 기업의 경영여건이 좋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과도한 임금인상과 교섭지연은 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려 오히려 근로자의 고용안정에게 해가 될 수 있다”며 “기업들이 통상임금 범위확대는 임금합리화로, 근로시간 단축은 생산성 향상으로, 정년연장은 인력운용 유연화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수진 기자/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