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이터랩] “한국사회 공동체의식 수준낮다” 68%
본지 · 현대경제硏 인식조사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우리 사회의 공동체 의식이 낮고, 과반은 선진국보다 우리 사회의 공동체 참여 수준이 떨어진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어려운 상황에 놓인 ‘타인’을 돕겠다는 인식은 약한 반면, 위기에 놓인 ’국가‘의 위기 극복엔 적극 참여하겠다고 답해 공동체에 대한 상반된 인식 태도를 보였다.

30일 헤럴드경제와 현대경제연구원이 실시한 ‘공동체와 사회자본 관련 대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 10명 중 7명(68.4%)은 우리 사회의 공동체 의식 수준을 낮게 인식했다.

공동체를 위해 자발적으로 휴지를 줍겠다는 응답은 44.6%로 절반이 채 되지 않았다. 이를 반영하듯 응답자 53.5%가 한국의 공동체 참여 수준이 선진국에 미치지 못한다고 했다. 연령이 높을수록 공동체 의식 수준이 낮다는 응답이 많았다. 

공동체 의식 약화의 가장 큰 요인은 물질만능주의(35.2%)가 지적됐다. 이어 개인주의(24.3%), 지나친 강요(20.6%), 혈연ㆍ지연ㆍ학연(11.1%), 진솔한 대화 등 대면관계 부족(5.7%), 세대 간 갈등(3.1%) 순이었다.

세월호 참사는 우리 사회의 약화된 공동체 의식을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공동체는 자기 방어력을 상실한 현대사회에서 일종의 보호막 역할을 한다”면서 “세월호 참사의 재발방지를 위해선 무엇보다 공동체 의식 회복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전규찬 언론개혁시민연대 대표도 “신뢰, 직업윤리, 전문가적 판단 등은 공동체 속에서 배우고 형성되는 것”이라면서 ‘공동체 부재’를 세월호 참사의 한 요인을 분석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우리 국민의 모순된 공동체 의식도 발견됐다. ‘타인’의 어려움엔 무심하지만 ‘국가’ 위기극복엔 참여의지가 높았다. 국민 67.3%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자원봉사나 기부 등의 타인을 돕는 행동이 어느 정도 수준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질문에 ‘낮은 편’이라고 대답했다. 
반면 국가 위기 참여 의지는 ‘많은 편’이라는 의견이 58.3%로 조사됐다.

이는 개인과 국가 사이를 잇는 중간 공동체의 부재를 보여주는 것으로, 공동체 의식 강화를 위해선 높은 국가 공동체 의식을 확산시킬 수 있는 중간 공동체 육성이 절실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장후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친목 중심의 사적 공동체는 활성화돼있지만 정치참여ㆍ봉사ㆍ시민운동 등의 공적인 공동체는 미비한 상태”라면서 “개인과 국가를 이어주는 공적 공동체가 살아나야 한국의 사회자본도 확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동체 의식 회복을 위해선 ‘경쟁이 아닌 협력교육’(44.2%)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물질이 아닌 사람 중심 캠페인’(29.0%), ‘세대 및 집단 간 갈등 해결을 위한 다양한 의사소통 자리 마련’(23.7%), ‘다문화ㆍ타종교 등 공동체 참여 기회 확대’(3.1%) 등의 방안도 나왔다. 

이번 조사는  전국 성인남녀 809명을 대상으로 지난 15일부터 21일까지 1주일 간 전화조사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서 오차범위는 ±3.49%다.

황해창ㆍ황혜진 기자/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