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캔맥주도 수입은 ‘싸거나 비싸거나’ vs 국산은 ‘비싸게’
[헤럴드경제=한석희 기자]캔맥주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수입 캔맥주는 저(低) 가격과 고(高) 가격대의 매출 비중이 높아지는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고, 반대로 국산 캔맥주의 경우는 갈수록 가격이 비싼 고급 캔맥주를 찾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게다가 캔맥주 용량도 기존 355㎖에서 앞으로는 500㎖가 대세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마트가 바캉스 대표 주류인 캔맥주의 최근 5년간 매출 동향을 분석한 결과, 1000원대 수입 캔맥주는 2010년 전체 수입맥주매출의 13.1%에 그쳤던 것이 올해는 35.0%로 배 이상 점유율을 늘렸다. 같은 기간 3000원대 이상 수입 캔맥주도 26.0%에서 44.3%로 점유율을 높여 수입 캔맥주의 양극화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영은 롯데마트 주류 MD(상품기획자)는 “수입 맥주를 즐기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기존 국산 맥주 소비층이 저렴한 1000원대 수입 맥주로 이동하고, 기존 수입 맥주 소비층은 가격을 더 주더라도 보다 특별한 맛을 찾아 3000원대 이상의 고가 수입 캔맥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반대로 국산 캔맥주는 갈수록 고급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롯데마트에 따르면 1500원 이상 국산 캔맥주는 2010년 6.8%에서 올해에는 매출 비중이 12.3%로 늘었다. 이는 수입 맥주의 인기가 치솟자, 국내 주류 업체에서 클라우드, 에일스톤, 퀸즈에일 등 기존 국산 맥주와 차별화를 시도해 일반 상품보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신제품이 출시돼 활발히 판매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캔맥주 용량도 기존 대표 용량이 355㎖ 였다면, 앞으로는 500㎖가 대세가 될 것으로 보인다.

500㎖ 이상(일부 650㎖ 제품 포함) 수입 캔맥주는 2010년 전체 수입 캔맥주 매출의 20% 미만에 그쳤으나, 올해엔 65.2%까지 점유율을 늘렸다. 같은 기간 500㎖ 국산 캔맥주 매출도 5.3%에서 11.3%로 2배 이상 점유율을 늘렸다.

이처럼 캔맥주 용량이 커지고 있는 것은 수입 캔맥주 도입 초창기에는 국내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355㎖ 사이즈가 많이 팔렸으나, 수입 맥주의 인기로 인해 수입 캔맥주의 대표 규격인 500㎖가 많이 팔리게 되면서 덩달아 500㎖ 국산 캔맥주도 예전보다 많이 팔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 MD는 “주류업계에서는 수입 맥주의 주요 타겟층을 30~40대 직장인 남성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남성들이 355㎖ 보다 500㎖를 더 선호하고 있어 500㎖가 맥주 대표 용량으로 자리 잡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말했다.

한편, 롯데마트는 본격 바캉스 시즌을 맞아 기존 1000원대 맥주로 유명한 ‘L 맥주’ 외에도 3종의 1000원대 수입 캔맥주를 선보인다.

대표적인 품목으로 기존에 취급하지 않았던 국가인 폴란드로부터 ‘발리 골드(500㎖)’, ‘카르팍키에 필스(500㎖)’를 새롭게 들여와 다음달 말까지 각 1500원에 선보인다. 또, 올해 수입 맥주 1위 점유율을 달성한 독일에서도 ‘펠트슐로센 헤페바이젠(500㎖)’를 신규로 들여와 같은 가격(1500원)에 판매한다.

/hanimom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