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에너지 늘리고 자연은 지키고…LG유플러스 亞최대 ‘친환경 IDC’ 구축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LG유플러스가 2015년 7월까지 평촌에 아시아 최대규모의 ‘U+ P센터(가칭)’를 친환경 IDC로 구축한다.

LG유플러스는 28일 ‘U+ P센터'가 정부가 시행 중인 ’지능형 수요관리(Demand Response)'를 적용한 첫 국내 상업용 IDC(Internet Data Center)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능형 수요관리’는 스마트계량기와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이용해 전력을 감축하고 수요를 분산ㆍ유도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한국전력의 예비 전력이 전력수급 경보 ‘준비’ 발령 수준인 450만kW 미만으로 감소하면 IDC 내 자가발전기로 자체 전력수요를 충당해 한전 예비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U+ P센터’의 지능형 수요관리 예비전력은 3,000kW다. 센터의 자가발전기를 통해 지하3층, 지상7층 규모 ‘U+ P센터’ 사무동의 조명, 냉난방 등 전력 일체를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국내 상업용 IDC 중 최장기간인 1년 중 7개월 이상을 외기 냉방으로 운영한다는 점도 특징이다. LG유플러스는 이를 위해 ‘IDC용 빌트업 공기조화장치’와 ‘공기조화시스템’을 적용했을 뿐 아니라 공기 이동이 용이한 건물 구조 설계 방식을 채택했다.

:LG유플러스는 2015년 7월 평촌에 오픈 예정인 아시아 최대규모의 ‘U+ P센터(가칭)’ 에 정부가 시행 중인 ‘지능형 수요관리’를 국내 상업용 IDC 가운데 처음으로 적용하는 등 친환경 IDC로 구축 중이라고 28일 밝혔다. 사진은 ‘U+ P센터’의 조감도.

이외에도 ‘U+ P센터’는 ▲단열효과 및 열 손실 최소화를 위한 건축 설계 ▲ 납, 카드뮴이 없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친환경 리튬배터리 ▲심야전력 이용 빙축열 설비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지열 냉난방 시스템 ▲빗물 이용 시설 등을 적용한다. LG유플러스는 기존센터에도 단계적으로 지능형 수요관리를 적용해 범국가적 전력 수요 분산 정책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 구성현 데이터사업담당은 “‘U+ P센터’는 온실가스 배출량 절감 등 환경 보호에 기여함은 물론 다양한 에너지 절감 시설의 도입을 통해 기존 대비 약 30%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는 친환경 IDC로 구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