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廢) 에너지…지역사회 에너지로 재활용
[헤럴드경제=허연회 기자]현대제철 공장에서 발생하는 350도의 열(熱)을 인근지역 공공시설이나 농업시설에 배달해 주는 사업이 시작된다. ‘열택배기술’(THCㆍTrans Heat Container)이라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탱크에 열을 저장해 에너지가 필요한 곳으로 배달해주는 기술이다. 이미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 활용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울산광역시청에서 ‘지역순화 자원순환 네트워크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사업 관계자들과 체결했다고 밝혔다.

열택배기술을 포함해 이날 업무협약식에서는 구체적인 사업 과제 3가지가 공개됐다.

울산 산업단지에서 나온 160℃의 열을 활용해 20㎿ 규모의 발전사업을 하고 여기에서 추가로 발생하는 온수를 1만5000 가구를 대상으로 한 지역 난방사업에 공급하는 사업이 이중 하나이다.


대구시 정수장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에서 알루미늄 성분을 추출해 이를 다시 사용하는 사업도 추진키로 했다.

정수 과정에서 촉매로 투입되는 알루미늄은 물에서 유해 물질을 끄집어 내는 ‘재생응집제’ 역할을 한다. 촉매로 쓴 알루미늄 성분이 슬러지에도 남는데, 이를 다시 추출해 재생응집제로 재활용하는 방식이다.

산업부는 이 같은 사업들로 연간 362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거두고 이산화탄소도 26만t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3가지 시범사업에는 2년에 걸쳐 매년 3억원이 지원된다.

이관섭 산업부 산업정책관은 “지역친화형 자원순환 네트워크 사업이야말로 산업단지가 지역 경제 뿐만 아니라 지역 환경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중요한 사업인 만큼 더욱 확대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okidok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