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벼룩의 간’빼먹는 기초연금 사기
첫 지급일 앞두고 피해사례 급증…수법 대담…당국 피해방지 홍보


#지난 11일 오후 5시께 서울 마포구 도화동에 사는 황 모(81) 씨는 지인들과 집안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이때 자신을 마포구청 복지행정과 직원이라고 소개한 50대 초반 남성이 불쑥 방문했다.

이 남성은 지인들이 자리를 뜨자 황 씨에게 대뜸 “임대아파트에 살지 않고 왜 이런 곳에 살고 있느냐”며 인근 용강동 임대아파트 입주를 권유했다. 이 남성은 임대아파트의 이름을 묻는 황 씨의 질문에 대답도 하지 않은 채 임대아파트 신청 인지세 14만원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기초연금을 14만원 더 받게 해 주겠다”며 준비해온 서류에 서명도 요구했다. 황 씨는 이 남성의 신분이 확실치 않은데다 수상쩍은 구석이 많아 경찰에 신고했다.

기초연금 첫 지급일(25일)이 1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이를 노린 사기사건이 끊이질 않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1일 ‘기초연금 사기 주의’를 당부했지만 이달에만 벌써 3건이나 접수됐다. 세상 물정에 어두운 어르신을 상대로 사기 행각이 이뤄지기 때문에 신고되지 않은 건수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공무원을 사칭한 사례가 많아 지방자치단체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 들어 복지부 등에 접수된 기초연금 사기 피해사례는 모두 9건으로, 이중 4건이 서울에서 발생했다. 시는 이에 따라 각 자치구에 기초연금 피해사례를 전파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기초연금 신청절차를 적극 홍보하도록 지시했다.

시는 특히 사기범의 수법이 대담해지고 있는 만큼 동 주민센터, 경로당 등에 기초연금 사기 피해예방 벽보를 부착하는 등 어르신이 많이 모이는 곳을 중심으로 홍보활동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실제 지난 1일에는 강서구 가양동 한 경로당에서 기초연금 사기사건이 접수됐다. 피해자 김 모(77세) 씨는 경로당에서 다른 어르신 10여명과 대화를 나누고 있는데 40~50대 남성이 자신의 이름을 부르면서 접근했다.

이 남성은 자신을 강서구청 직원이라고 소개하면서 “집을 방문했더니 경비실에서 경로당에 가셨다고 하길래 찾아왔다”고 능청스럽게 인사했다. 그러면서 “기초연금 20만원을 올려주겠다”면서 꼬드겼고, 김 씨가 바로 동 주민센터에 확인 전화를 걸면서 사기 행각이 들통났다.

시 관계자는 “기초연금 신청 및 접수비 명목으로 금품을 갈취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며 “기초연금 신청이나 접수에는 비용이 전혀 들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특히 신분증 없이 구청이나 동 주민센터 공무원을 사칭하면서 접근하는 경우는 100% 사기로 봐야 한다.

시 관계자는 “모르는 사람이 기초연금을 신청해 준다면서 접근할 경우 절대 응하면 하지 말고 경찰에 신고해달라”며 “기존 기초노령연금을 받던 어르신은 따로 신청할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최진성 기자/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