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이들의 잠재력 개발은 왜 중요할까요?…헤럴드 드림빅에서 찾는 아이들의 꿈
“자신의 욕구를 억제하고 오로지 이성이 최선의 것이라고 명령하는 바에 따르는 것이 인격이다.” - J. Locke

아이들이 입시와 스펙 경쟁 속에 성숙하고 당당한 인격체로 자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언론교육기업 헤럴드의 드림빅 프로젝트가 성황리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세상을 지혜롭고 자신있게 살아가기 위해 꼭 알았으면 하는 인성 교육과 아이들이 가장 잘 하고, 또 하고 싶어하는 분야를 찾도록 돕는 적성 교육에 초점을 둔 개성교육 프로젝트 드림빅의 이번 소식지에서는 드림빅이 역점을 둔 개성, 인성 교육의 4대 요소 “캐릭터(character)” “리더십(leadership)” “창의력(originality)” “잠재력(potentiality)”의 사전적 의미를 고찰하여 이번 풍납 5차 교육을 더욱 풍성하게 가져가실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드리고자 합니다.


▶캐릭터

교육철학가 로크(J. Locke)는 캐릭터(인격)에 대해 “한 사람이 자신의 욕구를 억제하고, 자신의 기분을 거역하며, 오로지 이성이 최선의 것이라고 명령하는 바에 따르는 것”이라 정의하였습니다. 이러한 의미로서의 인격 형성, 즉 정신 도야(mental discipline)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전통적으로 중요한 교육목적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로크는 인격형성 교육을 아동 훈육의 필수요소로 주장한 대표적 인물로 비근한 예로 유럽 중세의 기사교육, 한국의 선비교육, 일본의 무사교육, 그리고 영국의 신사교육 등이 전형적인 인격교육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격교육의 중요한 영역으로 덕육(德育) 또는 훈육(訓育)도 흔히 만날 수 있습니다. 넓게는 바람직한 생활태도의 교육을 가리키고, 좁게는 선악 또는 정사(正邪)에 대한 올바른 가치판단을 갖게 하여 그 판단에 의해서 구체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사회의 여러 관습은 가정에서 차용, 변용된 연후에 청소년에게 영향을 주어 도덕성의 기반을 형성하는데, 그 정도는 습관이 굳어지지 않은 유년기일수록 더욱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리더십

리더십이라 하면 통상적으로 집단의 목표나 내부 구조의 유지를 위하여 성원(成員)이 자발적으로 집단활동에 참여하여 이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능력을 가리킵니다. 리더십의 자성론을 연구한 대표적 학자 L.아위크는 리더십에 필요한 요건으로 용기 •의지력 •마음의 유연성 •지식 •고결한 성품을 지적했으며, 특히 공정과 성실함을 끊임없이 간직함으로써 주위 사람으로부터 신뢰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리더십이라는 용어는 일찍이 정치학이나 사회학에서 주요 이슈로 부각되어왔지만, 기업이 사회적 조직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나아가 경영학 특히 경영관리 부문에서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였고, 경영자의 리더십은 기업과 국가 발전을 좌지우지하고 있습니다. 리더십이 지배와 다른 것은 그 기능의 수행을 피지도자의 자발성에 기대하는 점과, 집단의 성질에 따라 특성이 반드시 고정적이 아닌 데 있습니다. 


▶창의력

창의력의 하위개념에는 창의성이 있습니다. 창의력은 창의적인 능력을, 창의성은 창의적인 성격 등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 둘은 모두 영어의 ‘creativity’에 해당되며, 따라서 거기에는 능력 및 성격적 측면이 모두 포함됩니다. 창의력은 다시 세 가지 수준에서 정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첫째, 창의력은 발산적 사고입니다. 다시 말해 새로운 것을 생성해 내는 사고를 창의력이라 정의한다. 둘째, 새로울 뿐만 아니라 유용한 어떤 것을 생산해 내는 행동 또는 정신과정 또한 창의력이라 지칭합니다. 유용성 개념이 기존 개념에 추가된 것입니다. 셋째, 창의력은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의미합니다. 새롭고 유용한 문제를 확인, 발견하고, 새롭고 유용한 해결 대안을 생성해 내며, 과제의 수행을 혁신적으로 수행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에 중요한 것은 일반적인 문제해결이 아니라 새롭고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창의적 문제 해결은 일상 생활 문제에 대한 것일 수도 있고 학문적인 것에 대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해결책, 설계, 발명, 제품 또는 계획 등을 창의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하며 후자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거나, 실험방법이나 설계를 새롭게 하거나, 새로운 물질이나 현상을 발견하거나 또는 개념이나 이론 혹은 모형을 새롭게 개발하는 것 등이 포함되는 것입니다.

▶잠재력

희대의 발명가 토마스 에디슨은 천재의 능력은 99퍼센트 노력과 1퍼센트 영감에서 주어진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무한한 잠재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내용입니다. 잠재력을 어떻게 개발하는가에 따라 천재가 되거나 혹은 둔재가 될 수도 있는 것이지요. 잠재력은 물에 잠긴 빙산과 같아 바다표면에 보이는 10퍼센트 빙산과 바닷속 90퍼센트 빙산을 함께 볼 때, 수면 아래 갇힌 중량이 인간의 무한 잠재력에 해당합니다. 많은 학자들은 인간의 뇌 기능 중 효용가치에 있어 가장 강력한 것이 잠재력이라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잠재력은 현실을 창조하는 연금술로서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할 때 개인의 성공이 한 걸음씩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유아의 잠재력 조기 개발은 대단히 중요하며, 무한 경쟁 사회에 서광을 비춰줄 황금 열쇠인 것입니다. 각기 다른 아이들의 잠재력을 적시에 발굴해 내는 것이 관건이라 하겠습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