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企 미래개척 위해 산ㆍ학ㆍ연 손 맞잡았다
‘중소기업 미래포럼’ 출범…中企 경영환경 좌우할 메가트렌드 10개 선정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학계ㆍ연구계ㆍ중소기업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중소기업 미래포럼’을 출범했다.

중소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발전을 유도하고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선제적 대응전략을 제시하고자 출범한 이 포럼은 박광태 고려대학교 교수와 조용준 제약협동조합 이사장이 공동 회장을 맡았다.

포럼회원으로는 학계 소장파(교수 20명, 연구원 9명) 및 중소기업 대표 9명 등 각계 전문가 38명으로 구성됐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인사말에서 “대한민국 경제는 현재 저성장과 양극화라는 커다란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답은 중소기업에 있다. 중소기업은 대한민국의 희망이자 미래”라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이어 “중소기업도 단기적 전략이나 생존위주의 경영방식에서 벗어나 경영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준비하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져야 한다”며 “중소기업 미래포럼이 그 내비게이션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 날 포럼의 주제발표자로 나선 이동주 중소기업연구원 정책본부장은 ▷ICT 메가트렌드 ▷Mega FTA ▷디지털 산업혁명 ▷Open & Global R&D ▷통합커머스 ▷국제 분업구조 변화 ▷제조업 위기 ▷인구구조 변화 ▷넛크래커(환율) ▷고용규제와 일자리창출 ▷가계부채를 ‘미래 중소기업 경영환경을 좌우할 메가트렌드 10선’으로 선정ㆍ발표했다.


이 정책본부장은 “중소기업의 지속 성장 및 경영에 영향을 미칠 장기적 트렌드를 파악하려면 인구구조의 변화와 국제분업구조 변화, 산업구조변화 등을 파악해야 한다”며 “우리 정부와 중소기업은 중국과 일본에 비해 낮은 제조업 부가가치 창출 능력 높이고 제조업 근로자 고령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근 엔저 현상으로 촉발된 ‘환율 넛크래커’ 현상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은 수출시장 다변화, 원가절감 노력 등을 추진하고, 결제통화 변경, 환헤지 등 재무적 대응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며 “정부 역시 중소기업 수출금융 및 수출마케팅 지원을 강화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박광태 공동포럼회장은 “선정된 메가트렌드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역할 변화에 대한 대응책과 비전 등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