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하버드대 마이클 푸엣 교수 “한중 정상회담, 중국 관점에서는 성공”
[헤럴드경제]“중국 관점에서는 성공적 정상회담이었다고 생각한다”

마이클 푸엣 미국 하버드대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 교수는 최근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에 대해 7일 이같이 밝혔다.

푸엣 교수는 이날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 경희대에서 존 리 미국 버클리대 교수, 유종성 호주국립대 교수와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시아의 미래’를 주제로 진행한 ‘2014 석학 대담’에서 이같은 견해를 내놨다.

중국사와 동양철학 전문가인 그는 ”중국은 이번 정상회담을 미국이 주도해 온 동북아 구조 재편의 첫걸음으로 여길 것“이라며 ”한국과 중국이 일본이라는 공통 화제를 통해 관계를 긴밀히 하려는 목표였다면 성공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버드대에서 ‘최고 교수상’을 받는 등 ‘스타 교수’로 꼽히는 푸엣 교수는 “한국 입장에서도 북핵 위협에 대한 통제의 방향으로 가는 길을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마련했다는 점에서 성공적이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존 리 교수는 “중국 공산당의 대외정책은 국내정치용이라는 점에서 시 주석 방한도 그 일환”이라며 “대만과 자유무역협정(FTA)이 실패한 상황에서 중국 대중에게 인기가 있는 한국과 FTA 체결은 중국 입장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유종성 교수는 “표면적으로는 합의한 듯 보이지만 박 대통령이 원한 것은 ‘북한 비핵화’였던 반면 시 주석은 ‘한반도 비핵화’를 고집했다”며 “6자회담 재개 조건에서 한국ㆍ미국과 중국·북한의 입장차가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푸엣 교수는 중국이 영토분쟁으로 대외적 확장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 “급격한 경제성장 결과 중국 내부적으로 빈익빈 부익부가 심하다”며 “국수주의적 현안에 관심을 집중시켜 내부적 폭발 가능성을 잠재우려 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일본 정부의 역사 왜곡과 집단자위권 행사 시도를 두고는 “‘절대 수용 불가’가 옳은 입장이긴 하나 한국 입장에서 장기적으로는 이런 강경발언에 건건이 대응한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의견을 내놨다.

그러면서 “일본 내에서 시작된 우경화가 인접한 여러 나라에서 나타나는 것이 최악의 시나리오”라며 “지금 상황을 진정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런 사태와 관련된 여러 세력 간 중재자 역할을 한국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대담은 경희대가 진행하는 여름학기 프로그램 ‘2014 국제협력하계대학’의 하나로 마련됐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