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채권단, 내일 동부제철 자율협약 개시…경영권 어디로?
[헤럴드경제]채권단이 동부그룹 계열 동부제철에 대한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채권단은 실사를 거쳐 이르면 9월말쯤 회사측과 경영정상화 방안을 확정한다.

채권단 관계자는 6일 “동부제철과의 자율협약에 대해 정책금융공사, 수출입은행, 농협, 하나, 신한, 우리, 외환은행 등 10개 채권금융기관의 동의서 제출이 원활히 마무리될 것으로 보여 예정대로 7일 자율협약을 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채권단 공동관리가 개시되면 동부제철의 원금상환 등이 유예되지만 경영은 사실상 채권단 손에 넘어간다. 채권단은 공동관리 개시에 이어 회계법인을 선정하고 실사에 들어간다. 실사 기간에 회계법인은 동부제철의 자산과 부채, 경영여건 등을 정밀 분석하고 청산가치와 존속가치를 계산해 비교한다.

존속가치가 높다고 판단될 경우 감자(자본감소), 출자전환, 상환유예, 신규지원, 자산매각, 경영효율화 등 구체적인 회생계획을 담은 경영정상화 방안을 짠다.

총 채권액의 75% 이상 찬성으로 경영정상화 방안이 채택되면 회사와 경영정상화계획 이행 약정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구조조정 실행 작업에 돌입한다.

이 과정에서 대주주와 일반주주의 감자비율을 다르게 하는 ‘차등 감자’가 적용되는 만큼 김준기 그룹회장 등 대주주의 경영권 유지여부가 주목된다. 또 장남 남호씨의 동부화재 지분을 추가 담보출연하느냐를 놓고도 채권단과 그룹 간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대주주와 일반주주의 감자비율을 다르게 해 차등감자를 실시하거나 채권단이 경영진 교체를 요구하면 김준기 회장은 경영권을 내놓게 될 수 있다. 총수일가의 동부제철 지분은 김준기 회장이 4.79%, 장남 남호씨가 8.77%, 장녀 주원씨가 1.48% 등이다.

다만, 자율협약에 따른 구조조정은 유동성 문제 해결을 급선무로 하기 때문에 경영부실이 심각하지 않다면 경영권 변동을 반드시 수반하지는 않는다.

류희경 산업은행 수석부행장도 지난달 24일 브리핑에서 “김준기 회장이 경영을 잘해서 정상화를 잘할 것 같으면 우리가 모셔와야 할 테고 다른 분이 더 잘할 것 같으면 그분을 모셔와야 할 것”이라며 “경영권은 정상화를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채권단이 요구해온 장남 남호씨의 동부화재 지분(14.06%) 추가 담보 제공 여부도 경영정상화 계획에서 핵심 쟁점이다. 그룹측은 이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