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국 장외발매소, 지역사회 문화공간으로 변신
[헤럴드경제=윤정희(부산) 기자]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던 한국마사회 장외발매소가 지역사회의 든든한 후원자이자 주민 친화적인 문화 시설로 변신하고 있다.

장외발매소는 한국마사회가 운영하는 경마공원의 레이스 생중계를 화면으로 보면서 베팅을 할 수 있는 일명 화상 경마장. 도심에 자리 잡고 있어 과거에는 지역 주민들의 기피 대상이었다. 경마 팬이 아닌 주민들에게는 그저 도박 시설로 비쳐질 뿐이었다.

그러나 최근 이미지 변화가 두드러진다. 서울과 부산경남ㆍ제주 경마공원의 경마 날인 금ㆍ토ㆍ일요일을 제외하면 월~목요일에는 지역 주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변신한다. 중랑 장외발매소의 경우 2009년 리모델링 이후 최신 시설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갖춰 중랑구 문화센터로 불린다. 2011년부터 최근 3년 동안 노래ㆍ기타ㆍ서예ㆍ한국무용 등 2000여회 강좌가 열렸고 한 해 9만명에 육박하는 지역민의 발길이 이어졌다.

2009년에 지정 좌석제로 새롭게 문을 연 중랑 장외발매소는 불과 5년 만에 ‘남다른 중랑구 문화센터’이란 평을 듣고 있다. 한국마사회 장외발매소 중 최상급의 시설과 지역민을 위한 다양한 문화강좌로 차별화에 성공 지역에서는 보기 힘들게 수준 높은 물화 강좌를 지역민들에게 선사했다. 이에 따라 최근 3년간 3000회의 강좌에 연간 8만9000여명의 지역민들이 찾을 정도로 중랑구 장외발매소는 중랑구 문화시설로 주목받고 있다. 

중랑 장외발매소 문화센터에서 진해된 한국무용 강습 장면.

중랑 장외발매소는 경마 시행일에 4개 층 전 객장을 지정좌석제로 운영하기 때문에 공간이 깔끔하다. 경마 입장객은 하루 4000여명에서 1200명 정도로 제한된다. 무질서가 사라지고 입장객은 쾌적하게 경마를 즐긴다.

중랑 장외발매소 김종필 지사장은 “품격 있고 우아한 환경을 갖추고 전문 서비스를 갖추니 고객도 저절로 바뀌었다”면서 “각 지사의 기획 능력에 따라 지역민을 위한 문화 복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전국 곳의 장외발매소에서 운영하는 모든 강좌는 마사회의 지원으로 대부분이 월 5만원 이하의 저렴한 비용이거나 무료로 이용되고 있다. 헬스ㆍ영어ㆍ골프 등 주민의 수요를 반영한 강좌가 지난해 전국에서 1만5000여개에 달했고 80만명이 참여했다. 이색적인 지역 상생 프로그램도 있다. 전문 경영 컨설팅 업체에 위탁해 주변 상인들에 대한 무료 경영 컨설팅도 해준다.

마사회는 나아가 중장기적으로 장외발매소의 대폭 개선된 모델을 준비하고 있다. 최근 용산 장외발매소는 지역에 문화센터와 복합레저형 발매소로 변신을 추진하고 있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