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린리빙-스페셜] 여든가는 세살 食버릇, 불량급식이…
<건강 100세, 심플 테이블에서 답을 찾다>
2부 안전밥상이 건강밥상이다 ② 영·유아기 영양관리


맞벌이 부부 · 무상보육 정책 영향
보육시설 이용률 크게 늘어…비위생급식 등 먹거리 불안도 확산

성장기 식생활 교육 중요성
영양교육 · 식품안전 지도…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역할 기대



습관은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는다. 행동 하나하나에 오랫동안 쌓이고, 그것이 몸이 무식적으로 그것을 따를 때, 비로소 습관이라 이야기 한다. 긴 시간 축적돼 온 습관은 하루아침에 바꾸기 힘들다. 그래서 처음부터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식습관’도 마찬가지다. ‘세 살버릇 여든까지 간다’. 초등학생도 아는 이 속담은 식습관에도 여과없이 해당된다. 어린 시절 형성된 식습관은 아이의 평생 식습관으로 이어진다.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 성인비만율은 2008년 21.6%에서 2010년 22.5%, 2012년 24.1%로 꾸준히 증가중이다. 우리나라의 건강한 미래를 위해 영, 유아기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뜻이다.


▶보육시설 이용률 높아지지만, 급식현실은…=아빠 혼자 48시간 자녀를 돌보는 인기 TV프로그램에서, 아이를 두고 집을 나서는 엄마들이 공통적으로 이야기한다. “다른 것은 걱정 안된다. 먹이고 재우는 것이 문제다”. 가장 기본이지만 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신경써야하는 부분이 바로 잘 먹이고 잘 재우는 것이다.

최근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고, 정부가 무상보육 정책을 시행하면서 자녀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 전문 보육시설에 보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 복지 및 교육 통계 자료에 의하면 어린이 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어린이 수는 2010년 181명에서 2012년 210만명으로 불과 2년사이에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0~3세의 경우 보육시설 이용률이 OECD국가 중 3위에 달한다. 곧, 부모가 아이가 24시간 무엇을 먹고, 어떻게 먹는지 하나하나 챙기는 것은 다소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부모는 아이를 믿고 보육시설에 맡긴다. 엄마 아빠의 눈길이 닿지 않는 시간, 아이가 부모와 함께 지내는 만큼이나 잘 먹고, 잘 자기를 바라는 마음은 매한가지다. 그 믿음을 무색케 하듯, 언론에서는 자꾸만 ‘불량 급식’, ‘비위생 급식’ 등의 보도가 끊이질 않는다. 보육시설의 급식 현실이 부모의 바람과 일치하지 않음을 방증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생활안전과 오현숙 연구관은 “보육시설 이용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일부 보육시설에서의 비위생적이고 부실한 급식문제가 발생해 자녀들을 어쩔 수 없이 보육시설에 맡겨야 하는 학부모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던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영,유야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급속히 성장하는 시기다. 성장단계에 맞춘 영양관리가 매우 필요한 시기인 것은 반론의 여지가 없다. 최근 보도내용들을 보면 학생들의 편식 때문에 서울지역만 학교 급식 후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3만톤이 넘는다. 쓰레기 처리비용으로는 하루 40억원의 예산이 들어간다. 어려서부터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식생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은 앞선 사례들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 어린이의 ‘식습관’을 책임진다, ‘어린이급식지원관리센터’=보육시설에 맡겨진 어린이들이 늘어나고, 보육시설 내 어린이들의 급식문제에 대한 이슈가 제기되면서 나온 해결책은 ‘어린이급식지원관리센터’ 운영이다.

‘어린이급식지원관리센터’는 식약처에서 국비를 지원하고 지자체가 지역내 어린이 급식소 안전관리를 위해 설치한 센터다. 어린이급식지원관리센터는 어린이의 충분한 영양섭취와 안전한 급식을 위한 지도를 하고, 원장과 교사, 조리원을 대상으로 식품안전 영양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센터에 따라 식단 및 표준 레시피를 제공, 어린이가 균형잡힌 식단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지난 1월,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이 개정, 공포되면서 50명 이상 100명 미만의 어린이집 등 급식소를 대상으로 했던 어린이급식관리 지원은 50명 미만 어린이집, 유치원 등 소규모 급식소까지 확대됐다. 식약처 측은 “50명 미만의 소규모 시설이 50명 이상의 시설에 비해 급식안전관리에 있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이 사실”이라며 “법 개정으로 50명 미만의 소규모 어린이집도 센터에서 지원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급식안전관리의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전국에 100개소 이상의 센터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센터가 미설치된 139곳의 지자체를 우선 설치 대상으로 하고, 어린이 급식소 수가 많은 지역도 추가 설치를 추진 중이다. 실제, 2013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 결과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점수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손미정 기자/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