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저탄소차협력금제 논란 속, 남몰래 웃는 정유사
[헤럴드경제=김윤희 기자]디젤차와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저탄소차 협력금제도에 대한 논란이 고조되는 가운데, 정유업계가 남몰래 웃음을 짓고 있다. 디젤차가 늘어나면 안정적인 경유 내수 소비처가 확보돼 실적 회복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23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경유 소비량은 디젤차 판매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4.6% 늘어났다. 같은 기간 디젤차 판매량은 45만4986대로, 전년 38만5389대보다 18.1% 올랐다. 지난해 말 경유택시에 유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택시발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데 이어, 정부가 디젤차에 부과되는 환경개선부담금 개선을 검토하고 있어 경유 소비는 더 가파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그런데 여기에 환경부가 추진하는 저탄소협력금제까지 시행되면 디젤차 판매 증가에 가속도가 붙어 정유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자동차 구매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고, 그 반대의 경우 부담금을 부과하는 저탄소차협력금제도가 시행되면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디젤차가 혜택을 보기 때문이다.

그동안 정유업계는 과잉생산되는 경유 때문에 골머리를 앓아왔다. 고도화설비 투자로 원유 정제시 생산되는 경유량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경유에 붙는 세금이 올라가면서 내수 소비는 정체상태에 머물렀다. 특히 난방ㆍ발전용 경유는 도시가스로 대체돼 꾸준히 소비가 줄고 있다. 정유업계는 생산한 경유 50%의 내수 소비처를 찾지 못해 해외에 수출해 왔다.

정유사들은 특히 디젤차가 휘발유차보다 LPG차를 대체하는 효과가 더 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유사 관계자는 “휘발유차는 상대적으로 소비층이 탄탄하다. 디젤차 증가에 따라 휘발유 소비가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지난해 디젤차가 증가하면서 휘발유 소비는 2.3% 소폭 늘었지만, LPG 소비는 2.53% 줄었다.

LPG차는 정부 지원에 힘입어 전체 자동차등록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지난 10년간 10% 포인트 이상 올랐다가 최근 하락세로 돌아섰다. 2011년 전체 차량의 13.1%를 기록했던 LPG차 점유율은 2012년 12.8%, 지난해 12.5%까지 감소했다. 2000년대 수송용 에너지세제개편과 국제가격 상승에 따라 LPG 가격이 껑충 뛰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LPG차량이 5~10년새 노후화돼 교체시기가 도래하자 최근 연비가 뛰어난 디젤차로 바꾸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정유업계는 “경유가 이산화탄소 및 대기오염을 줄이고 에너지효율을 높였다”고 강조하면서도, 저탄소협력금제도에 대해서는 공식입장 표명을 삼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유사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자동차업계와 굳이 각을 세울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wor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