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직장인 10명 중 4명 ‘전공과 관계없는 업무 하고 있다’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전공과 전혀 관계가 없는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은 최종학력이 대졸 이상인 직장인 2515명을 대상으로 ‘전공과 업무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36.1%가 ‘관계가 없다’고 답했다고 23일 밝혔다.

전공 계열별로는 ‘인문계열’(55.2%), ‘교육계열’(47.1%), ‘예체능계열’(44.8%), ‘사회계열’(43.4%), ‘자연계열’(37.2%) 출신 순으로 전공과 관련 없는 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37.9%), ‘30대’(35.7%), ‘40대’(34.7%), ‘50대 이상’(28.5%) 순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취업 시 전공을 포기한 응답자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전공과 관계없이 취업을 한 이유로는 ‘전공관련 채용이 너무 없어서’(35%, 복수응답)이 첫 번째로 꼽혔다. ‘전공이 적성과 맞지 않아서’(24.5%), ‘연봉 등 다른 조건이 더 중요해서’(19.7%), ‘심도 있는 전공 지식을 갖추지 못해서’(17.9%), ‘전공과 직무는 별개라고 생각해서’(14.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이 전공을 살려 취업하는 것을 포기한 시점은 ‘구직활동 중’(44.2%)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대학교 3~4학년’(21.9%), ‘졸업 직후’(16.3%), ‘대학교 1~2학년’(12%), ‘대학 진학 이전’(5.5%) 순이었다.

아울러 조사대상의 82.4%는 비전공자라서 손해를 보거나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전문 지식 부족으로 업무에 차질을 빚음’(44.6%, 복수응답), ‘취업 시 낮은 연봉을 받음’(37.6%), ‘전공에 대한 미련이 남음’(26.5%), ‘이직이 어려움’(25.8%), ‘전공자에게 열등감을 느낌’(21.8%) 등이 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전공을 살려 취업한 직장인(63.9%, 1608명) 중 72.5%는 업무를 진행하는데 전공지식의 도움을 받고 있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적성보다는 점수에 맞춰 대학에 진학하는 세태와 심각한 취업난이 맞물려 전공을 포기하고 취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하지만 급한 마음에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취업할 경우, 어렵게 들어간 직장에서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만큼 충분히 고민을 한 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