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하지정맥류가 말초혈관질환이라고?

최근 더위가 빨리 시작돼 여름휴가를 서두르는 사람들이 많다.

여름은 열심히 몸을 만든 몸짱들에게는 즐거울 수 있지만, 하지정맥류에 의해 다리에 혈관이 뛰어나온 이들은 반바지를 입거나 수영복을 입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미용을 목적으로 하지정맥류를 수술하는 이들이 많은데, 단순히 미용만을 목적으로 수술을 할 경우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우리 몸의 세포는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이 없으면 살 수가 없다. 산소와 영양분은 혈액을 통해 공급되는데 그 혈액이 지나는 통로가 혈관이다.

혈액을 전신에 보내기 위해서 펌프 작용을 하는 것이 심장이며 심장에 바로 맞닿아 있는 혈관을 대동맥, 대정맥이라고 부른다. 심장에서 피가 나가는 혈관을 동맥이라고 하고 반대로 심장으로 피가 들어오는 혈관을 정맥이라고 한다.

심장과 대동맥, 대정맥을 제외한 나머지 혈관을 통칭해서 말초혈관이라고 한다. 즉 목, 팔, 다리로 가는 혈관을 전부를 말한다.

그 중에서 다리에 있는 정맥이 두드러진 병을 하지정맥류라고 부르는데 대개 동맥에 문제가 있으면 주 증상은 통증이 되며, 정맥에 문제가 있을 경우 주 증상은 붓는 것이 된다. 물론 쉽게 다리가 피곤해지거나 쥐가 나기도 한다.

다리에서 심장으로 들어가는 정맥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는데 다리 중앙에 뼈에 가깝게 지나는 큰 정맥이 있고, 이를 심부정맥이라고 부른다. 또한 피부 바로 밑으로 지나는 혈관을 표재성 정맥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흔히 눈으로 튀어나온 혈관을 보게 되는 경우는 대부분 표재성 정맥이며, 이를 하지정맥류라고 한다.

다리는 심장보다 아래에 위치하므로 피가 심장으로 가기 위해서는 다리근육의 짜주는 펌프기능과 혈관 속의 역류 방지 장치인 판막이 존재하게 된다, 물론 이 판막의 기능이 망가지면 역류가 일어나고 혈관이 튀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하지정맥류의 원인을 판막이상으로만 다 설명할 수는 없다.

하지정맥류는 모양이나 위치, 나이, 혈액순환 정도, 혈액상태, 혈관상태, 다른 장기와의 혈액순환 상태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때문에 원인에 맞는 적절한 치료와 함께 수술방법과 수술방향성을 선택해야 한다.

특히 40대 후반 이후에 생기는 하지정맥류는 동맥질환이나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와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만성 심부정맥혈전 질환과도 흔히 동반된다. 그런 경우 보기 싫다고 무조건 미용을 목적으로 하지정맥류 수술을 하게 되면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이후 심각한 상태까지 진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정맥류를 일으키는 정밀한 원인검사와 함께 동반돼 있는 질환은 없는지를 진단하고 같이 치료해야 증상도 좋아지고 합병증도 막을 수 있다. 특히 뇌혈관 질환이나 심장혈관질환은 말초혈관질환과 동반돼 있는 경우(40-60%)가 많으므로 오히려 말초혈관질환의 검사와 치료로 인해 뇌혈관이나 심장혈관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방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다.

<도움말 : 로엘혈관의원 이택연 원장>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