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보훈병원’ 설립 물건너 가나?…인천시장 후보들 공통 공약 무산 위기
[헤럴드경제=이홍석(인천) 기자]‘인천보훈병원’ 설립이 무산될 위기에 처하게 됐다.

인천보훈병원 설립은 6ㆍ4 지방선거에서 여ㆍ야 인천시장 후보 모두 내세웠던 공약이어서 처음부터 물거품 공약이 될 가능성이 크다.

5일 인천시와 국가보훈처 등에 따르면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용역을 맡긴 ‘인천보훈병원 설립 예비타당성 검토’ 결과, 인천보훈병원 설립은 사업타당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이 병원 설립은 사실상 수포로 돌아갈 공산이 크다.

KDI는 보훈병원 설립이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한 인천시장 후보자들의 공통된 공약사항인 것을 감안해 사업성이 낮다는 용역 결과에 대한 발표 시기를 늦춰 온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보훈병원 설립은 지난 2006년에도 추진됐었다.

그러나 당시에도 사업성이 낮다는 이유로 중단됐다.

그동안 인천시는 남구 용현동 군부대 부지에 200병상(지하 1층·지상 5층) 규모의 보훈병원 설립을 추진해 왔다.

인천지역에 8만2000여 명의 국가보훈대상자가 거주하고 있고, 이 중 국비진료대상 보훈대상자만 1만600여 명에 달해 인천보훈병원 설립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된다는 타당성을 두고 추진해 왔다.

현재 국내 보훈병원은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규정 제28조에 따라 서울과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5곳에 설치돼 있다.

따라서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보훈대상자들의 경우 서울에 위치한 중앙보훈병원을 찾을 수밖에 없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지난 2013년도 한해 동안 1040병상 규모의 서울 중앙보훈병원을 찾은 인천, 경기도지역 보훈대상자는 93만여 명으로 894명당 1명만이 병상을 배정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인천지역 한 상이군경회 회원은 “서울까지 가서 치료받는 것이 우리에게는 힘든 일이기 때문에 인천에 보훈병원 설립을 크게 기대했었다”며 “그러나 인천에 병원 설립이 어렵다는 소식에 안타깝기만 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상이군경 회원은 “이번 인천시장 당선에 장관 출신인 유정복 후보가 당선됐기 때문에 유 당선자가 재추진 한다면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며 희망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인천시장으로 당선된 새누리당 유정복 후보의 공약인 인천보훈병원 설립 무산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