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7 · 30 보선이 결승전
서울 동작갑 등 12곳 ‘미니총선’…새누리 과반의석 확보 주목

6·4 지방선거가 끝났지만 여야 모두 가야할 길이 바쁘다. 한 달여 뒤 7·30 재·보궐 선거가 남았기 때문이다. 지방선거에서 충분히 승부가 나지 않은 만큼 ‘미니 총선’ 급으로 치러지는 재·보선에서 양측은 총력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7·30 재·보선은 최소 12곳 이상에서 치러지는 ‘미니 총선급’이 될 예정이다. 대법원 선고를 앞두고 있거나 파기 환송심이 진행 중인 곳이 6곳에 달해 재·보선 지역이 추가될 수도 있다.

규모가 크다보니 원내의석은 물론 정국주도권을 놓고 여야 간의 피할 수 없는 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새누리당 의원들의 지방선거 출마로 공석이 된 지역은 서울 동작을(정몽준), 부산 해운대ㆍ기장 갑(서병수), 경기 김포(유정복), 대전 대덕구(박성효), 울산 남구 을(김기현), 수원 병(남경필), 충주(윤진식) 등 7곳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이 출마한 수원정(김진표), 담양ㆍ함평ㆍ영광ㆍ장성(이낙연), 새정치연합에서 탈당해 무소속 후보로 나섰다 단일화로 사퇴한 이용섭 전 의원의 광주 광산구을 등 3곳도 재·보선 지역이다.

여기에다 경기 평택을(새누리 이재영 전 의원)과 경기 수원을(새정치연합 신장용 전 의원)도 이미 선거법 위반 등의 혐의로 의원직 상실이 확정돼 재선거가 치러진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 서대문을(정두언·새누리), 충남 서산태안(성완종·새누리), 전남 나주(배기운·새정치연합), 전남 순천시·곡성군(김선동·통합진보) 등 4곳은 대법원 선고를 앞두고 있어 재·보선 지역은 추가로 늘어날 전망이다.

인천 서구강화을(안덕수·새누리)과 계양을(최원식·새정치연합) 등 2곳은 파기환송심이 진행 중이다.

국민들의 이목이 집중된 세월호 국정조사를 비롯해 ‘세월호 국회’가 지속되면서 또다시 세월호 이슈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여야는 세월호 참사를 어떻게 잘 수습하느냐에 따라 다시 민심의 심판대에 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재 새누리당 의석은 149석으로 과반의석(151석, 300석 기준)이 무너져 이를 회복할지, 아니면 야권에 의석을 더 내줄지 주목된다. 이번 재·보선에서 새누리당이 최소 2석을 가져와야 과반의석(151석)을 회복할 수 있다.

다만 이미 재·보선 지역으로 확정된 12곳 가운데 기존 새누리당 의원의 지역구가 8곳에 달해 과반의석 복구는 무난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있다.

원호연 기자/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