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형화재 인명 피해 ‘무기단열재’로 막는다
모래ㆍ현무암 주원료로 불에 안 타…가연성 ‘유기단열재’ 유독가스로 인명피해 주범

[헤럴드경제=조문술 기자]최근 안전관리 소홀과 방화에 의한 화재가 전국에서 잇따르는 가운데 내화건축자재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

터미널, 요양병원, 상가 등의 경우는 실내 인테리어자재 및 가연성 단열재가 타면서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해 짧은 시간에 많은 인명피해를 냈다. 반면 서울지하철 도곡역 방화의 경우는 검게 그을린 화재의 흔적을 제외하곤 인명피해 없이 소화됐다. 전동차의 벽체와 바닥, 의자 등이 불에 타지 않는 소재였던 것이다.

내화건축자재는 불에 타지 않는 성분인 규사(모래)와 현무암 등을 원료로 만든 건축자재를 일컫는다. 대표적인 내화건축자재는 무기(無機)단열재다. 단열재는 건축물에서 보온을 하거나 열을 차단할 목적으로 쓰는 건축자재인데 만드는 원료에 따라 ‘유기단열재’와 ‘무기단열재’로 구분된다. 

최근 방화, 실화 등 화재사고에 따른 인명피해가 커지면서 미네랄울과 글라스울 등 불연성 내화건축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단열재는 불이 났을 때 벽을 타고 지붕이나 인근 건물로 화재를 확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원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무기단열재와 달리 유기단열재는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등 석유화학제품을 원료로 만들어져 화재에 취약한 게 특징이다.

반면 무기단열재는 규사와 현무암을 재료로 만든 인조광물섬유의 일종으로, 불에 타지 않고 단열성도 높은 편이다. 때문에 화재 발생시에도 불이 옮겨붙지 않고 표면에서 그을리다 진화되기 때문에 대형참사를 막을 수 있고,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도 거의 없는편이다. 또 입자가 굵어 인체에 흡입이 어려운 비흡입성 섬유로서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도 있다.

대표적인 무기단열재는 미네랄울과 글라스울 등이다. 모래와 현무암에서 원료를 뽑아내는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KCC 등 소수 업체에서만 생산하고 있다. 석유를 여러 차례 정제 가공한 유기단열재와 달리 프레온가스,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거의 방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기 하다.

미국, 일본 등은 무기단열재 등 내화건축자재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전체 단열재 시장에서 무기단열재가 차지하는 비율은 80% 이상인 것으로 알려진다. 독일 등 유럽국가 상당수는 무기단열재 사용을 아예 의무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백화점이나 마트 등 공공시설의 건축자재는 모두 준불연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도록 정해놓고 있다. 그러나 화재가 잦은공장, 창고 등에는 이런 규정이 없어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이 적은 샌드위치패널이 많이 이용된다. 이는 스티로폼 등 유기단열재여서 화재에 취약하고,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큰 이유다. 

건축자재업계 관계자는 “우선 국민들의 안전의식이 높아져야 화재 등 각종 재난피해를 줄일 수 있다”며 “화재는 그 자체 뿐 아니라 유해물질에 의한 질식 등 2차 피해가 커 내화건축자재를 확대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