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네오콘 - 아베 정권 - 日보수언론의 ‘밀월’…’보수의 공모자들‘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일본의 전직 관료가 아베 정권과 보수언론의 유착관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저서 ‘보수의 공모자들’(마고사키 우케루 지음, 한승동 옮김, 메디치미디어)이 최근 출간됐다. 책의 저자인 마고사키 우케루는 외무성 출신의 외교안보 전문가로 보수 정권과 보수 언론의 관계를 ‘공모와 협착관계’로 파악한다. 보수 정권이 언론의 보수화를 부르며 보수 언론은 정권을 비호하게 된다는 것이다.

마고사키는 현 아베 정권이 일본 국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행보들을 정당화하기 위해 사실 왜곡이나 거짓말을 일삼고 있는데도 일본 언론들이 이를 눈감아주고 있다고 비판한다.

저자는 이러한 보수 정권과 언론의 공모 관계를 몇 가지 사례를 들어 고발한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는데도 재가동쪽으로 여론을 몰고 가는 것이 대표적이다. 또 아베가 내세우는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에 대해서도 언론은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를 따지기 보다도 “아베노믹스에 반대한다면 경기를 호전시킬 다른 좋은 방법이 있는가”라는 식으로 국민을 호도한다. 여론을 자신의 의도대로 움직이기 위한 아베 정권의 시도가 언론 장악이다. 위안부 망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자신의 정파 인사를 NHK의 회장 자리에 앉힌 것이 노골적인 언론 장악의 대표적인 사례다.

그렇다면 아베 정권의 정책을 좌우하는 배후의 요인은 무엇일까? 미국, 특히 미국 내 강경보수주의를 일컫는 네오콘이라는 것이 마고사키 우케루의 주장이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를 비롯해 원전 재가동, 집단적 자위권과 센카쿠 영토분쟁, 오키나와 미군기지 등 아베 정권의 주요 정책이 대부분은 미국과 깊은 이해관계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마고사키 우케루는 “이런 흐름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아베가 ‘미일관계 강화’를 내걸고 정권에 복귀한 만큼 앞으로도 아베 정권이 대미 종속 외교를 쫓아 이러한 사안들을 추진해 나가는데 오바마의 눈밖에 나지 않도록 충성을 다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결국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정부의 정책과 언론이 전하는 정보에 대한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의심이다. “만약 우리가 사회나 정치에 무관심하고 눈앞의 정보를 의심하지 않는다면, 우리보다 앞서 삶을 살다간 선인들이 만들어준 지금의 편안한 환경은 모래알처럼 우리 손아귀에서 모두 빠져나갈 것”이라는 게 독자들에게 전하는 저자의 당부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