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가 754명 세월호 참사 정부 대처 비판 성명, “반성없는 권력에 맞설 것”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문인들이 세월호 참사에 관련 정부의 대처를 강력하게 비난하고 태도와 정책 전환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한국작가회의(이사장 이시영) 소속인 소설가 현기영, 황석영, 평론가 황현산, 시인 천양희, 시인 정희성 등은 2일 서울 서교동 인문까페 창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인 754명이 서명한 ‘우리는 이런 권력에 국가개조를 맡기지 않았다’는 제하의 시국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단 한 사람의 목숨도 구하지 못하고 수많은 의혹과 추문을 남겨둔 채로 대통령은 사과하면서 재발방지를 약속했지만 우리는 그 약속을 믿을 수가 없다”며 “정부가 나서서 국민의 알 권리를 막았을 뿐만 아니라 유가족들의 항의와 요구를 경찰병력을 동원해 진압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총리를 바꾸고 정부부처를 자르고 기워 개편하는 장막을 치는 것으로 우리가 겪은 참담한 재난을 바꿀 수 없다”며 “생명보다 이윤이 우선시되고 경제적 효과를 기준으로 모든 가치를 줄 세우는 세상에서 우리의 삶은 절대로 안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문인들은 “국민의 생명이 위기에 처한 가장 급박한 순간조차도 정권은 생명보다 자본의 이윤을 먼저 고려했고 안전보다 정권의 유지에 연연했다”며 “우리의 생명과 일상을 위협하는 모든 부정에 회피하지 않고 맞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생명과 존엄을 외치는 국민들의 분노를 진압하고 통제하는 권력을 우리는 더 이상 허용할 수 없다”며“아물지 않을 이 상처를 온몸으로 증언하고, 상처를 가리고 말을 통제하는, 반성없는 권력을 향해 끊임없이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작가회의 성명은 또 유가족과 사회구성원 중심의 세월호 참사 진실 규명과 생명을 죽이는 모든 정책과 제도의 해체, 정치권력과 관료사회에 누적된 부정부패 단죄, 광장에서 경찰 철수 및 집회와 결사의 자유 보장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