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해경 해체 보다 중요한 것은 공복(公僕)마인드
서지혜 사회부 기자
[헤럴드경제=서지혜 기자]갑작스런 해경 해체 발표에 대해 시민들의 여론이 분분한 가운데, 해경해체로 전전긍긍 하는 사람들이 또 있다. 바로 숨진 민간잠수사 고(故) 이광욱 씨의 가족들이다.

지난 19일 기자와 만난 이광욱 씨의 처남 김현철 씨는 “해경이 없어지면 사망원인 등 진상 규명을 어디에서 해야하는 것이냐”며 안타까워했다.

숨진 이 씨의 사인은 사고 2주가 지난 지금까지도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처남 김 씨는 “사망 당시 바다 속에서 교신한 내용이나 사망 상황 등을 가족들이 알아야 하는 것 아니냐”며 해경이 사인을 숨긴다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

김 씨가 이처럼 분노하는 것은 사망 이후 정부관계자들이 보인 무성의한 태도 때문이다. 사고 이후 지금까지도 이광욱 씨의 가족들은 보건복지부, 해경 등 관련 부처의 대표 번호를 인터넷으로 검색해가며 사고 당시 상황에 대해 묻고 있다. 수많은 정부관계자가 장례에 다녀갔지만 사인규명에서부터 의사자 지정까지 어느 것도 속시원히 대답해주는 이는 없이, 그저 장례만 속전속결로 진행되자 가족들의 애는 타들어간다. 한 해경관계자는 궁금증을 물어보기 위해 전화한 가족에게 “그 부분은 내 담당이 아닌데 왜 나에게 전화를 하느냐”고 화를 내기도 했다고 한다. 김 씨는 “장례식장에 온 해경관계자는 자신은 장례식만 담당하고 있으니 발인이 끝나면 자신은 할 일이 없다는 식으로 말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이런 과정에서 ‘해경해체’ 발표는 가족들에게 더욱 불안함을 안겨줄 수밖에 없다. 해경은 “해체가 되더라도 사고 수습은 끝까지 하겠다”고 말했지만 가뜩이나 맡은 업무가 아니면 ‘나에게 묻지도 마’로 일관하는 공무원들이 해체를 앞둔 조직에서 업무 의욕이 있을리 만무하다. 이 과정에서 이 씨 뿐 아니라 다른 희생자 가족들은 또 다시 상처를 받고 혼란을 겪게 될 게 뻔해 보인다.

사고 늑장ㆍ허술 대응의 당사자인 해경에 책임을 묻는 것에 이견은 없다. 다만 타이밍이 아쉽다. 사고가 수습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습 대안은 없이 해체를 발표한 것에 현장의 불안감은 커져만 간다. 조직개편도 필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공무원 마음가짐의 변화다. 마지막까지 희생자와 가족들을 위한 공복(公僕) 역할에 충실했으면 한다.

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