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SK ICT (정보통신기술) 계열사 해외실적 ‘高高’
에너지 · 화학 계열사 실적 증가
C&C 1분기 사상최대실적 전망



SK그룹 내 정보통신기술(ICT) 계열사의 해외 실적이 증가하고 있다. SK에너지를 비롯한 에너지ㆍ화학 계열사가 해외 사업을, SK텔레콤 등 ICT계열사는 내수로 기반을 다진다는 SK그룹 내 공식이 깨지고 있는 것이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그룹 계열사로 IT 아웃소싱 사업을 하는 SK C&C는 지난 1분기 해외 매출이 535억원을 기록, 처음으로 전체 매출액(5238억원)의 10%를 넘어섰다. 해외 매출 비중이 10%선을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30.2% 증가한 규모다. SK C&C의 해외 매출액은 2012년 1125억원에서 지난해 1764억원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지난 1분기 해외 매출액을 볼 때 올해 사상 최대의 해외 실적이 예상된다. SK C&C의 해외 진출은 오히려 정부의 대기업 규제가 발단이 됐다. 정부가 대기업 계열 시스템통합(SI) 업체의 정부 사업 입찰에 제동을 걸자 해외로 눈을 돌린 것이다. SK C&C는 카자흐스탄 우편물류시스템, 아제르바이잔 지능형교통시스템 구축 사업, 투르크메니스탄 안전도시 구축 사업 등을 잇달아 수주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국내에서 ‘SK엔카’라는 브랜드로 중고차 사업도 전개하는 SK C&C는 지난 3월 호주의 최대 온라인 자동차 매매업체인 카세일즈닷컴과 합작법인을 설립했다. 지난달에는 중국 자동차매매업체인 상해운봉자동차회사와도 손잡고 현지 시장에 진출했다.

국내 오픈마켓 ‘11번가’를 운영하는 SK플래닛도 터키와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했다. 11번가는 지난해 3월 터키의 유력 기업인 도우쉬 그룹과 합작해 ‘누마라 온비르’(n11.com)라는 이름의 오픈마켓을 열었다. 이 사이트의 판매자는 지난해 말 7000명을 돌파했고 판매상품도 600만개에 이른다. 지난해 전체 거래액은 120만달러를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인도네시아 2위 이동통신업체인 엑스엘 악시아타와 합작해 오픈마켓 ‘일레브니아’를 열었다.

SK그룹이 2012년 인수한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매출액 14조1650억원 중 수출이 92%를 차지, 그룹 뿐만 아니라 국가 수출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SK그룹 관계자는 “앞으로 SK그룹의 글로벌 성장은 기존의 에너지·화학과 ICT라는 양 날개가 주축이 돼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희 기자/worm@heral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