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월호 사고 여파 장기화시 회복세 낙관 어려워”…5월 그린북
[헤럴드경제 = 하남현기자] 기획재정부가 최근 우리 경제에 대해 “세월호 사고 이후 소비 및 관련 서비스업 활동이 둔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세월호 사고 여파가 소비심리 위축 장기화로 이어질 경우 근근이 이어왔던 회복세를 낙관하기 어렵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기재부가 9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전반적으로 완만한 회복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나 민간부문 회복세가 견고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기재부는 특히 지난달 발생한 세월호 참사로 인해 소매판매 등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잠정 집계한 결과 지난달 신용카드 승인액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2% 오르는데 그쳐 3월 7.0%에 비해 증가폭이 낮아졌다.

4월 백화점 매출액과 할인점 매출액도 전년 대비 각각 0.1%, 3.7% 하락할 것이란 모니터링 결과도 나왔다.

이에 따라 4월 소매판매는 3월보다 다소 둔화될 것으로 기재부는 전망했다. 지난 3월 소매판매가 통신사 영업정지 영향에도 1.6% 증가세를 보였지만 4월 들어 회복세가 꺾인 것이다.

여기에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신흥국 불안, 엔화와 같은 대외위험요인도 여전하다고 기재부는 지적했다.

다만 3월 취업자 증가폭이 64만9000명에 달하고 같은 달 광공업생산은 전달대비 0.9% 증가해 2월 부진을 만회하는 등 전반적인 지표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월 수출은 대부분의 지역과 품목에서 증가세를 나타나며 전년 동월대비 9.0% 늘어났다. 무역수지도 44억6000억달러 흑자를 시현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세월호 사고에 따른 영향이 향후 본격적으로 지표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며 “무엇보다 경제 주체의 심리적 위축 장기화가 가장 크게 염려되는 만큼 경기회복세를 공고히 하기위한 정책노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air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