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2022년까지 지하철 노후차량 91% 교체”
-지하철 사과 관련 운영시스템 개선안 내놔
-예산확보 등 난제 맞물려…‘사고 지하철’ 오명 벗을지 주목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서울시는 18년 이상 운행해온 지하철 노후전동차 650량을 오는 2022년까지 새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이는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1~4호선 전체 노후전동차(714량)의 91%에 달한다. 또 제 각각 운영돼온 1~9호선 관제시스템은 ‘스마트(SMART) 통합관제센터’을 구축, 통합 관리하기로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9일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지하철 운영시스템 10대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2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에서 전동차 추돌사고가 발생한지 1주일 만에 내놓은 개선안이다. 이에 관련 예산 확보 등 난제를 극복하고 ‘사고 지하철’ 오명을 벗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개선방안의 핵심은 ‘노후전동차 교체’다. 현재 서울메트로가 보유한 전동차는 1954량으로 이중 714량(36%)이 18년 이상 운행된 노후전동차다. 시는 지난해 9월 노후전동차 268량에 대한 정밀검사를 실시한 결과, 1호선 64량은 15년, 2호선 145량은 5~6년, 3호선 59량은 5년 등으로 사용 연장 진단을 받았다.

시는 지하철 추돌사고를 계기로 당초 계획보다 2~4년 앞당긴 2022년까지 8775억원을 투입, 2~3호선에 운행되는 노후전동차 650량 전량을 조기 교체하기로 했다. 우선 노후화 수준이 심각한 2호선의 경우 2018년까지 266량, 2020년까지 234량을 교체한다.

3호선 노후차량 150량도 2022년까지 새 전동차로 교체할 계획이다. 1호선 64량은 내년까지 111억원을 투입해 전동차 내 모든 부품과 장비를 새 것으로 바꾸는 대수술을 시행한다.

내부연한이 지나지 않은 4호선은 기대수명이 도래할 경우 별도의 검사를 통해 교체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아울러 설치된지 15년이 지난 승강기 187대와 안전사고 우려가 높은 승강기 537대도 2018년까지 모두 교체된다.

시는 호선별로 분리된 관제센터를 통합한 ‘스마트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내년 2월 타당성조사 용역을 완료한 뒤 2018년까지 통합관제센터를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본격적인 운영은 2019년 1월부터 개시한다. 이와 별도로 노후화된 1, 5, 8호선 관제센터는 개량 계획을 세워 추진하기로 했다.

지하철 위기대응시스템도 새롭게 구축된다. 시는 사고 발생시 상황전파ㆍ시민보호ㆍ초기대응을 5분 이내에 완료하는 ‘골든타임 목표제’를 도입하고, 열차운행 통제방법에 대한 관제조치도 보완하기로 했다.

현재 일반 부서로 분류된 안전관리단은 ‘안전감사팀’을 신설해 서울메트로 사장 직속 조직으로 개편되고, 연 1회 철도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지하철 종합안전평가도 받는다.

이 밖에 정부가 승인하는 ‘철도안전관리체계’를 도입해 예방적 안전시스템으로 전환하고, 외부 협력회사에 대한 지도ㆍ감독도 강화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지하철 운영시스템 전반을 종합적으로 성찰, 개선하는 계기”라면서 “일회성 조치가 아닌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할 것”이라고 했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