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년 공공기관 신규채용中 시간선택제 일자리 0.008%에 불과
[헤럴드경제=허연회 기자]지난해 공공기관 전체 신규채용 중 정부의 핵심 고용 정책인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은 1000명 중 8명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304개 공공기관 전체의 신규채용은 1만7245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15개 기관에서 채용한 148명으로 전체의 0.008%에 그쳤다.

기관별로는 한국중부발전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 규모가 49명으로 가장 많았고, 근로복지공단 30명, 한국수력원자력 28명, 한국조폐공사 10명 등이었다.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채용 대비 시간선택제 채용은 2011년 전체 신규채용 1만4923명 중 53명(0.003%), 2012년 1만6537명 중 62명(0.003%)보다는 소폭 늘었지만, 이번 정부 들어 핵심 고용 정책이라하기에는 무색하다.

정부는 지난해 6월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일자리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핵심 과제 중 하나로 꼽고 추진해 온 바 있다.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정착시킨 뒤 민간으로 확산하겠다는 방침을 내놨지만 공공기관 채용에는 아직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올해 136개 공공기관에서 시간선택제 일자리로 1027명을 뽑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채용 규모의 10배에 가까운 목표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착을 위해 정부는 지난해부터 기관별 여건에 맞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유형을 발굴해 도입을 권고하는 등 홍보와 독려에 나섰다. 올해 2월에는 기관별로 경력단절 여성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목표 비율을 50% 이상으로 설정ㆍ권고하고 이행실적에 따라 경영평가에 가점을 주는 등의 방안도 마련했다. 다만, 정부의 정책 노력이 어느정도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공공기관이 그동안 정부 정책방향에 따라 고무줄처럼 채용방식을 바꿔온 것에 비춰보면 올해 시간선택제 채용을 대폭 늘린다고 해도 제도 정착보다는 한시적 확대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이명박정부가 고졸구직자의 차별을 없애는 ‘열린 고용’을 강조하며 확대한 공공기관 고졸인재 채용의 경우 박근혜정부가 들어 다시 축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okidok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