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G전자, ‘소통 사물인터넷’으로 ‘글로벌 가전 1위‘ 목표 달성 잰걸음
1분기 단순 영업이익률, 3분기 만에 삼성전자 앞서
채팅ㆍ소통 위주 사물인터넷 ‘홈챗’ 적용 가전 출시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가전제품과 시너지 노려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올 1분기 가전 분야에서 우수한 성적표를 받은 LG전자가 ‘2015년 글로벌 가전 1위’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비장의 무기를 꺼내 들었다. 소통을 앞세운 사물인터넷(IoTㆍInternet of Things) 서비스 ‘홈챗(HomeChat)’이다.

가전 기기와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을 장악하는 회사가 짧게는 수년, 길게는 십수 년간 전 세계 가전 시장을 호령할 수 있을 것으로 업계에서는 내다보고 있다. LG전자는 사물인터넷을 통해 가전분야의 수익을 극대화하면서 국내외에서삼성전자를 제치는 ‘가전 왕좌’를 정조준하고 있다. 

LG전자가 소통을 앞세운 사물인터넷 서비스‘홈챗(HomeChat)‘으로 ‘2015년 글로벌 가전 1위’라는 목표 달성을 위한 잰걸음에 나섰다. 모델이 ‘홈챗’을 지원하는 프리미엄 스마트 가전제품들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LG전자]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전자의 1분기 가전 사업 실적은 단순 비교 상으로는 삼성전자를 앞섰다. 지난해 2분기 3.8% 대 3.4%로 근소하게 영업이익률을 앞선 데 이어 3분기 만이다. HE(홈 엔터테인먼트)ㆍ HA(가전)ㆍAE(에어컨ㆍ에너지 솔루션) 사업본부로 가전 분야를 나눠놓은 LG전자의 3개 본부 합산 매출은 8조8853억원이었고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은 4393억원ㆍ4.9%였다. 반면 삼성전자의 소비자가전(CE) 부문 실적은 매출 11조3200억원, 영업이익 1900억원, 영업이익률 1.7%였다.

두 회사의 세부 사업군이 달라 LG전자가 1분기 가전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앞섰다고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하지만 LG전자는 소소하게나마 ‘역전의 기쁨’을 느꼈을 것으로 업계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출 수는 없는 것이 LG전자의 현실이다. 시장 상황에 따라 출렁이는 실적으로는 ‘전 세계 가전 시장 1위’라는 목표 달성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LG전자가 내놓은 카드 ‘홈챗’은 사물인터넷의 초기 단계로 홈 솔루션 서비스이다. LG전자는 지난달 말 ‘홈챗’ 지원 냉장고, 세탁기 등 스마트 가전제품을 내놓았다. LG전자가 내세우는 ‘홈챗’의 장점은 문자 채팅을 활용한 소통.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로 대화하며 사람과 기계의 관계를 넘어 친구 사이처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친구로 등록해 놓은 에어컨에게 ”너무 더워”라고 메시지를 보내면 “에어컨을 켤까요”라고 답장이 날아온다. LG전자는 이들 가전제품을 “친근하고 따뜻한 개인비서 캐릭터”라고 설명했다.

이와 달리 삼성전자의 사물인터넷 기반은 음성 명령 중심이다. 가정에서 어느 한 쪽을 선택하면 다른 한 쪽은 수용하기 어렵게 되어있다.

가전 기기는 교체 주기가 7~10년으로 스마트폰 등 IT(정보통신) 제품에 비해 길어 이익을 내기 쉽지 않다. 하지만 사물인터넷은 다르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가 사물인터넷을 위해 하나의 OS나 플랫폼을 선택하게 되면 같은 회사의 제품을 들여놓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