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에디슨부터 스마트홈까지…전자산업 역사 한눈에’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개관
21일 문 열고 ‘전자산업 혁신의 역사와 미래’ 일반 공개

에디슨 전구ㆍ최초 휴대폰 등 진귀한 사료 약 150점 전시


[헤럴드경제(수원)=신상윤 기자]전자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모두 볼 수 있는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S/I/M)이 21일 문을 열었다.

삼성전자는 이날 경기 수원 수원디지털시티에서 권오현 부회장, 윤부근 사장, 신종균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S/I/M 개관식을 개최했다.

S/I/M은 총 5개 층으로 구성됐으며 넓이는 1만950㎡(약 3300평)에 달한다. 수원디지털시티에 있던 기존 삼성전자 홍보관보다 4배 가량 큰 규모다.

각 층에는 ▷발명가의 시대 ▷기업 혁신의 시대 ▷창조의 시대를 주제로 한 1∼3 전시관과 삼성전자 디지털 역사관이 마련됐다.

삼성전자는 전자산업의 과거와 오늘을 담은 1ㆍ2전시관에서는 초기 에디슨 전구를 비롯, 최초 축전지인 라이덴병, 진공관 라디오, TV, 최초 휴대폰 등 약 150점의 진귀한 사료들을 준비했다.

삼성전자는 21일 전자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모두 볼 수 있는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S/I/M)을 개관했다. 관람객들이 전자산업의 뿌리를 볼 수 있도록 꾸민 1전시관에서 위치된 원뿔형의 전시 공간에서 관련 영상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전자산업의 뿌리를 담은 1전시관에는 18~20세기 전구, 통신, 라디오 등의 발명 관련 이야기를 담았다. 특히 이곳에는 천장에 매달린 타임머신 같은 5개의 원뿔(cone)형 전시 공간에서 전자산업의 진귀한 발명 이야기가 영상과 함께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지멘스, AT&T, 필립스, NEC 등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전자 기업의 초창기 모습을 담은 포스터도 붙였다.

반도체존ㆍ디스플레이존ㆍ모바일존으로 구성된 2전시관에는 전자업체가 주축이 돼 일으킨 정보 혁명의 모습이 담겨 있다. 각각 트랜지스터-집적회로-모바일 반도체로, 흑백-컬러-평판-스마트-곡면(커브드ㆍcurved) TV로 이어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꾸몄다. 모바일존에는 세계 최초 휴대전화들과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그때 그 휴대전화’를 진열했다.

3전시관은 초대형 곡면 스크린과 돔 스크린으로 꾸며진 일종의 영화관으로, 삼성전자가 첨단기술로 창조해 나갈 미래의 모습을 초고해상도(울트라HDㆍUHD)급 화질로 보여준다.

또 삼성전자 제품으로 구성된 ‘스마트홈’ 체험 공간과 정부ㆍ학교ㆍ병원ㆍ상점 등에서 활용 가능한 B2B(기업 간 거래) 솔루션도 함께 선보였다.

S/I/M은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평일에는 오전 10시부터 저녁 6시까지 예약제로 운영하며, 토요일은 예약 없이도 관람할 수 있다. 예약은 S/I/M 홈페이지(www.samsunginnovationmuseum.com)에서 할 수 있다.

권 부회장은 “전자산업의 역사는 새로운 가치에 대한 인간의 도전과 열정을 보여주는 발자취”라며 “혁신이 살아 숨쉬는 이 박물관에서 미래 스마트 라이프를 창조하는 삼성전자의 철학과 비전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세월호 침몰 사고로 개관식 연기를 검토하기도 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전 국민이 슬퍼하는 상황에서 일정 연기를 고민했다”며 “그러나 국내외 거래처 관계자 등의 방문이 잡혀 있어 일정대로 하되 최대한 차분하게 진행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개관식에서 삼성전자는 외부 인사를 초청하지 않았다. 사내 경영진만 박물관을 조용히 둘러봤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