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이터랩] 교수 10명중 7명 “등급별 대학정원 감축 부당”
대학교수의 72%는 대학을 평가해 등급별로 정원을 감축하는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방안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66%는 교육부가 주도하는 대학구조개혁 평가가 대학의 질적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16일 교수신문이 ‘창간 22주년’을 맞아 지난달 28일부터 2일까지 전국 대학 기획ㆍ교무처장, 교수(협의)회 회장, 대학평가 전문가 교수 등 1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부 대학구조개혁 평가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조사결과 교수 72%는 모든 대학을 절대평가해 5개 등급으로 분류, 등급별로 정원을 감축하는 교육부의 방안에 대해 타당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또 66.3%는 정부 주도의 획일적인 대학평가가 대학의 질적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특히 대학교수 대부분(91.5%)은 교육부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주요 목적이 ‘정원 감축’에 있다고 봤다. 재정지원사업 평가를 대학구조개혁과 연계해 자율적인 정원 감축을 유도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여론(63.4%)이 강했다.

대학교수 80.6%는 대학구조개혁과 연계한 대학 특성화 정책이 대학의 행정력을 낭비하고 대학교육을 취업 준비기관으로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교수 91.4%는 ‘대학구조개혁 평가에 앞서 부실대학부터 과감하게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봤다. 다만 평가를 한다면 ‘대학 소재지와 설립 유형, 규모별 특성에 따라 차별화해야 한다’(88.0%)는 의견을 보였다. 이 가운데 ‘국립대와 사립대를 구분해 평가해야 한다’는 요구가 8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연구ㆍ교육ㆍ산학협력 중심대학 등 대학의 특성을 반영해 평가해야 한다’는 의견이 85.7%였다. ‘수도권과 지방을 구분해 평가해야 한다’는 의견은 80%였다.

박영훈 기자/par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