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증권업계 합종연횡 본격화…연내 10여개사 사라질 듯
[헤럴드경제=권도경 기자] NH농협증권의 우리투자증권 최종 인수로 초대형 공룡 증권사가 탄생하면서 증권업계의 재편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동양증권과 우리투자증권이 매각된 데 이어 현대증권도 새 주인을 찾고 있다. 또 경영악화를 견디지 못하고 자진 폐업하는 증권사가 속속 나오고 있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증권업 재편이 활발해진다면 60여개가 난립한 증권사 수가 10개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만 위안다(元大)증권을 새 주인으로 맞은 동양증권은 현재 금융당국의 대주주 변경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현대그룹이 팔겠다고 내놓은 현대증권은 산업은행이 직접 매각 주관사로 나서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엔 금융위원회가 애플투자증권의 폐업을 승인해 자진 청산됐다. 코스피200 옵션 주문실수로 파산 위기에 몰린 한맥투자증권도 회생 가능성이 희박한 상태다. 한맥투자증권은 최근 금융위원회에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했지만 미국계 헤지펀드와 이익금 반환협상을 매듭짓지 못해 자본 확충 계획이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가 한맥의 경영개선계획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증권업 영업인가 취소와 파산 수순을 밟게 된다.

또 지난해 말 현재 11개 증권사가 자본잠식에 빠진 상태다. 아이엠투자증권이나 이트레이드증권 등도 매물로 나와있어 사라지는 증권사가 잇따라 나올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도 증권업계의 구조조정을 적극 유도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9일 국회 정무위에 제출한 업무현황 자료에서 “한계 증권사에 대해서는 자진 해산을 통한 퇴출을 유도할 것”이라며 “자진퇴출 증권사에 대한 인가폐지 승인 여부를 신속히 심사해 구조조정 지연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겠다”고밝혔다.

금융위원회도 지난해 말 M&A 추진 증권사에 각종 혜택을 주는 내용의 M&A 활성화 대책을 발표한 데 이어 증권사의 콜 시장 진입을 단계적으로 차단하기로 해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형 증권사를 압박하고 나섰다. 금융위가 지난 8일 발표한 증권사 영업용순자본비율(NCR) 규제 개선 방안도 대형증권사엔 유리하지만 중소형사엔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k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