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ICT 학점인턴ㆍ산학마일리지 확대…공대 혁신안
[헤럴드경제=조용직 기자]공과대학 학생들의 현장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ICT 학점이수 인턴제’와 ‘채용연계형 산업인턴제’가 확대 시행된다. 또 공학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업에 재정지원 사업 선정때 혜택을 주는 ‘산학협력마일리지제’가 도입된다.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참여한 공과대학혁신위원회는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8차 국가기술자문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보고했다.

공과대학을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삼기 위해 마련된 이 방안은 공학전공과 융합교육 활성화, 공대 교수 채용 및 업적평가 시스템 개선, 연구성과 실용화 기반 구축 등 7개의 추진과제를 담고 있다.

우선 졸업생들의 실무능력을 보증해주는 현행 공학교육인증제가 기초과목 30학점, 전공주제 54학점 이상으로 강화된다. 공학기초과목으로 소프트웨어(SW) 교육이 확대된다. ITRC(대학IT연구센터)ㆍIT융합센터지원사업 선정시 학제간 융합컨소시엄을 우대하기로 했다.

SCI(Science Citation Index) 논문이 없어도 산업체 경력이 우수하면 공대 교수에 채용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이를 위해 대학교원 자격기준 등 규정에서 산업체 경력의 연구실적 환산율을 ‘70% 이상’에서 100%로 적용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대학 재정지원사업 및 교수 평가제도도 개선된다. 현행 제도에선 대학도 SCI 논문 수가 많은 교수를 채용해야 유리하지만, 앞으로는 기술이전성과ㆍ기술료ㆍSW 공개소스 개발실적을 중시한 개별 평가지표로 평가하게 된다.

공대의 연구개발(R&D)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에서는 실용화 단계까지 목표설정을 하도록 의무화하기로 했다. 과거 우수평가를 받았던 기초ㆍ원천 연구를 실용화 단계까지 끌어올리도록 후속연구 지원도 강화한다.

정부는 기존 공과대학혁신위원회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산하 특별위원회로 승격시켜 추진 주체로 운영할 계획이다. 특위는 각 사안별로 공청회를 거쳐 이르면 이달 중 구체적 실행계획을 마련하게 된다.

yj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