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초봄 축농증 환자 31.6%가 10세 미만 아동’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환절기인 3~4월에 많이 발생하는 축농증(부비동염) 환자 3명 가운데 1명이 10살 미만 유아나 어린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당국은 집에 돌아오면 손발을 씻어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라고 밝혔다. 대부분 코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급성 부비동염은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는 게 보건당국의 조언이다.

▶10살 미만이 31.6% .. 3, 4월과 12월 가장 많이 발병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부비동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 자료를 분석해보니, 2012년 부비동염 전체 환자 563만8380명 가운데 10살 미만이 178만2654명(31.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고 6일 밝혔다. 10대가 85만3903명(15.1%)으로 뒤를 이었다. 

2012년 부비동염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장정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부비동염은 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10살 미만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면역 기능이 약해 감기에 더 잘 걸리므로 부비동염이 더 많이 발생한다. 부비동(코 주위 얼굴 뼈 속 빈 공간)의 입구가 성인에 비해 작아 코의 점막이 조금만 부어도 더 좁아지는 것도 어린이한테 많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08~2012년까지 5년간 부비동염 환자를 월별로 분석해보니, 3~4월(102만2284~105만5823명)과 12월(109만4148명)에 많았다. 반면 8월(51만5336명)에 가장 적었다. 장 교수는 “부비동염은 감기의 영향을 받는 질환으로 환절기가 되면 감기에 더 많이 걸리기 때문에 3~4월에 진료 인원이 많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대부분 코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해.. 외출 뒤에 손발 잘 씻어 감기 예방해야

부비동염은 부비동 점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흔히 ‘축농증’으로 불린다. 고름 같은 누런 콧물이나 목 뒤로 넘어가는 콧물이 나거나, 코가 막히고 기침이 지속되다가 심해지면 열이 나거나 냄새를 잘 못 맡거나 얼굴 부위의 통증과 두통이 생기는 게 부비동염의 증상이다. 특히, 9세 이하 소아·아동의 경우 성인에 비해 면역기능이 약해 감기에 더 잘 걸리기 때문에 부비동염 또한 더 많이 발생한다. 장 교수는 “급성 부비동염의 대부분은 코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며, 이를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부비동염이 될 수 있다. 환절기에 외출 뒤에는 손발을 잘 씻어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소아의 경우 부비동염은 수술보다는 비수술 치료가 많이 시행되고있다. 장 교수는 “소아는 성인과 달리 코 안의 조직들이 성장하는 단계에 있으므로 수술적인 치료에 의해 조직의 발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부비동 자체도 발육이 미약하므로 수술에 의한 외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장기적으로 얼굴뼈의 성장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소아는 수술 보다는 비수술 진료가 많다”라며 “부비동으로 인한 심한 합병증이 있다면 연령에 관계없이 수술을 진행해야 하나, 일반적으로는 비강 구조의 발육이 완성되는 17세 정도 이후에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조언했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