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포스코건설, 세계 최초 친환경 녹색기술 개발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포스코건설이 환경부 차세대 환경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유기성 슬러지를 폐열로 건조시켜 화력발전소 보조연료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유기성 슬러지는 하수처리 과정에서 액체로부터 분리된 침전물 찌꺼기를 말한다.

포스코건설이 개발한 이 신기술의 정식 명칭은 ‘건조장치와 혼합장치를 이용한 화력발전소 보조연료 생산기술’이며 환경부로부터 녹색기술 인증을 받았다. 이는 세계 최초의 기술로 지난 2012년 환경신기술 인증을 받기도 했다.

포스코건설은 녹색기술 인증을 통해 정부발주공사 PQ(Pre-Qualification: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시 신인도 가점 2점 확보와 신기술 인증 평가 시 진보성(40점) 항목에서 첨단기술성(10점) 점수를 만점으로 부여 받게 됐다.


기존에는 전체 유기성 슬러지의 40% 이상을 바다에 버려왔다. 하지만 해양오염방지 국제협약인 ‘런던협약 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2012년부터 유기성슬러지를 바다에 버릴 수 없게 됐다.

이에 따라 유기성슬러지 처리 방법이 화두로 떠올랐다. 매립이나 소각 등의 방법이 있지만 자원 재활용의 측면에서 이를 고체화시켜 연료로 사용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유기성슬러지는 발열량이 높아 연료로서의 가치가 높기 때문.

일반적인 슬러지 건조 방식은 섭씨 160~600도의 높은 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건조에 소요되는 연료비가 전체 운영비의 70%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한 건조장치는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지던 섭씨 120도 이하의 낮은 폐열로 슬러지를 건조시킨다건조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키는데 연료가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 방식과 비교해 약 30%이상 효율이 높다.


이렇게 만들어진 고체 연료는 분말형태가 아닌 2~8mm 크기의 알갱이 모양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분말형태보다 비산먼지가 줄어들고 표면적이 낮아져 폭발 및 화재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현재 광양 바이오에너지타운 내 하루 처리규모 10t의 연료화시설이 운영중에 있으며, 포스코건설이 시공중인 안양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사업에 하루 120t 규모로 설치될 예정이다.

김용민 포스코건설 R&D센터장은 “이번 녹색기술 인증획득으로 ‘친환경 주차장 바닥재’를 포함해, 총 6건의 녹색기술 인증을 보유하게 됐다”며 “녹색기업 이미지를 대외에 홍보해 수주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건설은 기존의 환경경영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사업 전반에 녹색경영 체계를 구축한 결과, 지난 2011년 국내 최초로 한국인정원으로부터 녹색경영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