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한카드-카이스트, ‘한국형 빅데이터 모델’ 공동개발키로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신한카드가 카이스트(KAIST)와 함께 국내 빅데이터 시장을 선도하는 한국형 모델을 공동개발하기로 했다.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과 강성모 카이스트 총장은 3일 서울 명동 신한카드 본사에서 이같은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신한카드는 이날 “이번 제휴는 신한카드가 세계 최고 수준의 IT 연구개발역량을 보유한 KAIST의 기술력을 접목해 국내 경영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빅데이터’ 모델을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카이스트의 연구 인프라를 활용과 신한카드의 데이터 분석을 접목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기대가 모아진다. 특히, 양 기관은 한국의 빅데이터 생태계 조성 차원에서 신용카드 등 소매금융 전반의 실제 비즈니스 사례를 학술적으로 연구해 학계에 전파할 예정이다.

우선적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빅데이터 관련 석박사급 인력을 투입, 2200만 고객을 보유한 신한카드의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고객 인사이트를 찾아내는데 주력하게 된다. 그런 다음 이를 활용, 새로운 비지니스 기회를 발굴할 계획이다. 공익차원에서도 한국형 빅데이터 모델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향후 신한카드와 카이스트는 비즈니스 애널리틱스(Business Analytics) 분야도 중점적으로 공동 연구할 계획이다. 비즈니스 애널리틱스란 데이터를 기업의 핵심 역량으로 키우는 작업이다. IT 시스템과 수학적 알고리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빅데이터와 결합하여 의사 결정 과정 및 전체적인 기업 운영에 혁신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신한카드는 향후 공동연구 개발을 통해 확보한 빅데이터 모델을 기업경영의 핵심경쟁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컨설팅 사업분야에도 본격적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위성호 사장은 이날 “이번 MOU 체결은 빅데이터를 통한 본원적 경쟁력 제고와 신성장동력 강화라는 신한카드의 핵심 전략 목표 달성뿐만 아니라, 한국형 빅데이터 모델 개발을 위해 카이스트와 긴밀한 협력을 시작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신하용 카이스트 산업ㆍ시스템공학과 학과장은 “신한카드와 공동으로 빅데이터 생태계 조성하고, 국내 실정에 알맞은 한국형 빅데이터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산학협력차원의 제휴”라면서 “국내 빅데이터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연구개발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