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트 홀릭> 이방인에 말 걸어온 뉴욕의 작은집
뉴욕 이스트사이드의 작은 집들이 어느날 화가에게 말을 걸었다. “나는 사람이에요”라고. 그러자 하얀 벽은 얼굴, 두개의 창문은 눈, 검은 지붕은 모자로 다가왔다. 다닥다닥 어깨를 나란히 하고, 끝없이 이어지는 성냥갑 같은 집들은 하나의 거대한 ‘인종의 용광로’로 비쳐졌다.

안식년을 보내기 위해 뉴욕에 머물던 화가 김명식(동아대 교수)의 눈에는 차창 밖 색색의 작은 집들이 꼭 사람 같았다. 그 길로 작업실로 달려가 화가는 그 집들을 그렸다. 10년 전 ‘이스트사이드 스토리’(East Side Story)는 그렇게 태어났다. 화폭에 드러난 것은 성냥갑 같은 집들이지만 그것은 인간을, 그리고 다인종들의 파란만장한 삶을 은유한다. 색색의 집 그림을 통해 작가는 인종 간, 이념 간 갈등을 뛰어넘으며 서로를 보듬어안는 세계를 꿈꾼다.

김명식‘East Side Story F1-03’. 유화. 2014  [사진제공=선화랑]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