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교문서 공개> 긴박했던 KAL기 격추사건 전모
[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1983년 269명의 목숨을 앗아간 비극적인 대한항공(KAL) 여객기 격추사건이 발생했을 당시 정부는 초기부터 소련에 의한 격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긴박하게 대응한정황이 외교문서 공개로 드러났다.

당시 외교부가 26일 공개한 외교문서에 따르면 1983년 8월31일 뉴욕을 출발해 9월1일 오전 6시 서울에 도착할 예정이었던 대한항공 여객기 KE-007기는 도착 2시간30분 정도 전인 3시23분 일본 북해도 근해에서 연락이 두절됐다.

대구 중앙항로관제국이 김포 레이더 관제실에 실종사고를 통보한 것은 5시45분. 50분 후인 6시35분에는 청와대, 총리실, 안전기획부, 외무부 등 관련 부처에도 전파됐다. 이때부터 외무부는 긴급 전문 등을 보내 서울과 도쿄, 워싱턴의 외교채널을 가동해 미국, 일본과 삼각 소통을 하면서 실종기 소재 및 사고 관계 파악 등을 시도했다.

오전 9시께 이뤄진 전화 보고에는 미국 공군이 ‘기관 고장 후 추락’으로 보고 있다는 내용이 보고됐지만 10시를 넘어가면서 추락(격추) 내지 강제착륙설에 대한 보고가 집중됐다.

10시42분에는 실종기의 연락두절 이후인 오전 3시29분께 사할린 서쪽 20마일 상공에서 비행 궤적이 잠깐 포착됐다는 일본 항공자위대의 미확인 정보 보고가 있어 주일 한국대사관이 10시50분에는 실종기가 사할린에 비상 착륙했다는 주일 미국대사관측 전언을 전화로 보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주일 미국대사관측은 다시 11시16분에는 ‘실종기가 소련 항공기에 계속 추격당한 것 같으며 소련의 미사일 공격을 받았을 것’이라고 주일 한국대사관에 밝혔다. 같은 시각 일본 자위대도 ‘강제착륙설보다는 추락설이 더 신빙성 있는 것으로 본다’는 보고가 전해졌다.

격추사건이 발생한지 7∼8시간이 지난 무렵이었다.

소련 외무성이 주소련 일본대사관의 강제착륙설 문의에 대해 “사할린에는 문제의 항공기가 없다”고 말했다고 일본측이 이날 낮 우리에게 전한 것을 계기로 정부는 ‘격추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판단했다.

이어 소련 전투기 간에 ‘발사’-‘격추’라고 서로 교신한 내용에 대해 일본 정부가 소련에 확인요청을 했다는 보고가 오후 6시37분 주일 한국대사로부터 전해졌다.

일본 관방장관이 9월6일 기자회견을 통해 공개하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도 공개됐으며 그동안 구체적 입장을 밝히지 않았던 소련은 이를 계기로 ‘대한항공 여객기가 고의적으로 소련 영공을 침입, 첩보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계속된 착륙 요구에 불응해 격추시켰다’면서 격추 사실을 처음으로 시인했다.

소련은 그러면서 정당한 조치라면서 앞으로도 같은 사안이 발생하면 똑같이 대처하겠다고 주장했다.

우리 정부는 9월12일 미국을 통해 소련에 배상을 요구하는 외교문서를 전달하려고 했으나 소련은 국교관계가 없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

양자차원의 협의가 불가능한 것이 분명해지자 정부는 유엔과 국제사법재판소(ICJ),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등을 이용하는 전략에 외교력을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부는 이런 내용이 포함된 1648권(27만여쪽)의 외교문서를 26일 공개했다. 정부는 생산한 지 30년 이상 된 외교문서를 대상으로 심의를 통해 공개하고 있으며 이번에 공개된 문서는 주로 1983년에 작성된 것이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