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日 수출 경쟁 역대 최고…향후 엔저가 변수될 듯
-한국무역협회 ‘한일 수출경합도’ 분석


[헤럴드경제=박수진 기자] 한국과 일본의 수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 해 한국과 일본의 수출 경합도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엔화 약세(엔저)의 여파가 계속되면서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 등 주력 수출 품목에서 양국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 해 한국과 일본의 수출경합도는 0.501로 사상 처음으로 0.5선을 돌파했다. 수출경합도는 수출상품 구조의유사성을 계량화해 외국시장에서의 국가 간 경쟁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경합도가 1에 가까울 수록 경쟁이 치열하다는 의미다. 한일 수출 경합도가 0.5를 넘어선 것은 양국의 수출 품목 구조가 50% 이상 유사하다는 의미다.

최근 7년 간 한일 수출경합도를 보면 2006년 0.484에서 2007년 0.449, 2008년 0.446으로 떨어지다가 2009년 0.455로 반등한 뒤 2010년 0.467, 2011년 0.475, 2012년 0.481 등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희비가 교차했다. 선박 분야 경합도는 2006년 0.865에서 지난 해 0.527로 다소 떨어졌다. 한국 조선기술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일본과 격차를 벌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도체 분야도 2006년 0.709에서 지난 해 0.584로, 통신기기도 0.515에서 0.499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반면 자동차부품과 자동차 분야는 치열한 경쟁이 계속됐다. 우리나라 7대 수출품인 자동차부품은 2006년 0.465에서 지난 해 0.56을 기록했다. 2012년 0.532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0.5를 넘어서더니 지난 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진 셈이다. 자동차분야의 경쟁은 평균 0.6~0.7 수준을 계속 유지하며 경쟁 가도를 보였다.

향후 한일 수출경합도는 엔저 요인이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엔저의 영향을 지난 해에 이어 올 해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에 일본 기업들의 기술개발(R&D), 사업구조조정 등 경쟁력 강화 노력이 지속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의 대응이 필숮거이다.

사공목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본 기업들이 작년까지는 엔저를 활용할 때 제품가격 인하보다는 수익성 개선에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벌어둔 돈을 설비투자로 연결하거나 본격적으로 제품 가격을 인하하기 시작하면 당장 가격경쟁력이 높아져 한·일 간 경합도가 상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