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잇단 대형사고 흔들리는 금감원…최수현號 우울한 1주년
카드사 개인정보 2차 유출·유통 드러나 책임론 제기…남은 임기 신뢰회복 여부 주목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이 18일 취임 1년을 맞는다. 속속 열매를 맺는 기쁨을 맛봐야 할 시기지만 연이어 터지는 대형 금융사고로 사면초가에 싸여 있다. 동앙사태에 이어 수습국면이던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사태가 2차 유출 및 유통까지 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또 다시 책임론에 휘말렸다.

물론 성과도 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함께 박근혜 정부 초대 금융당국 수장으로서 금융산업의 비전을 마련하고,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장검사를 통해 불합리한 금융제도 및 관행을 개선했고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방지 노력도 손꼽히는 성과다. ‘국민검사청구제’를 도입해 소외됐던 금융소비자 권익보호의 초석을 다졌다는 점도 긍정적인 변화로 꼽힌다.

하지만 연이은 대형 사고는 초석을 다지는 최수현호를 흔들어놨다. 지난해 9월 터진 동양 사태는 단기어음(CP)과 회사채의 불완전판매로 수만명의 피해자를 발생시켰다. 국내 최대 은행인 KB국민은행의 직원 비리와 함께 일부 시중은행의 도쿄지점 부당대출 문제는 최 원장에게 큰 짐을 안겨줬다. 올 들어서는 연초부터 KB국민ㆍNH농협ㆍ롯데 등 카드 3사의 1억400만건에 달하는 대규모 고객정보 유출사태가 터졌다. 카드사 정보 유출사태는 ‘금융소비자’를 넘어 온 국민이 분노했다. 국민의 신용정보가 빠져나가면서 금융권에 대한 국민 신뢰는 회복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카드 3사의 창구는 카드 해지 및 재발급ㆍ탈회 고객으로 넘쳐났고, 전 국민이 자신의 정보 유출 가능성 때문에 불안감에 떨었다. 화살은 금융당국으로 날아갔다. 3사 중 2곳의 정보 유출이 최 원장 취임 이후 발생했고, 보안실태를 점검했음에도 미리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히 최 원장이 지난달 18일 국회 정무위 청문회에서 “2차 유출 및 피해는 없다”고 단언했지만 2차 유출 및 유통이 드러나면서 책임론에 대한 목소리가 거세다.

최 원장은 아직은 공개적인 언급은 삼가고 있다. 18일 취임 1주년 행사 없이 조용히 지난 1년을 되돌아볼 것으로 알려졌다.

남은 임기 동안 가장 시급한 일은 땅에 떨어진 금융당국의 ‘신뢰회복’이다. 신뢰는 여론이 잠잠해지기만을 기다린다고 회복되지 않는다. 금융수장으로서 책임감 있는 사태 해결 노력을 보여줘야 한다. “한 번 맺은 약속은 꼭 지킨다”는 최 원장이 어떠한 모습을 보여줄지 주목된다. 

황혜진 기자/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