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VOD(주문형비디오) 시청료 또 두자릿수 오른다
지상파압박에 IPT V· 케이블 인상
작년 30% 기습 인상 불과 1년만
1만원 월정액 최고 15000원으로
콘텐츠업체 욕심에 시장위축 우려


주문형비디오(VOD) 가격이 또 오른다. 지난해 기습적으로 30%를 올린 뒤 불과 1년 만에 또다시 대폭 인상되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제 막 새 수익원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VOD 서비스가 일부 콘텐츠 업계의 욕심에 소비자로부터 외면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17일 IPTV 및 케이블TV 업계에 따르면 KBS와 MBC, SBS 등 지상파 3사는 최근 VOD 가격 인상을 골자로 하는 새로운 계약 협상을 통보했다. 현행 편당 500원에서 1300원 하는 편당 VOD 가격을 200원에서 300원가량 올리자는 것이다. 이 경우 1만원 수준인 VOD 월정액 상품도 최소 1만2000원에서 최고 1만5000원까지 오르게 된다.

지난해 4월 유료시청 시간을 1주에서 3주로 3배 늘리고, 또 편당 가격 및 월정액 가격도 30%가량 올린 지 불과 1년 만에 또다시 두 자릿수의 인상을 주장하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IPTV 및 케이블 VOD 서비스가 아직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IPTV 업계 한 관계자는 “통신 3사 모두 지상파 3사 및 케이블 PP(프로그램 제작사)에 지불하는 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해 적자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그나마 최근 1~2년 사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VOD도 아직은 제대로 된 수익원으로 자리 잡지 못했다”고 하소연했다.

통신사 및 케이블TV 업계에서는 가격을 안정시켜 VOD 시장 자체를 더 키워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방송사들은 당장의 수익 늘리기에만 급급하다. VOD 매출의 70%를 방송사가, 30%를 IPTV나 케이블TV 같은 플랫폼 사업자가 가져가는 비대칭적인 분배 구조가 가져온 문제다.

최근 방송사들이 자체 VOD 판매망 확보를 위해 시작했던 ‘푹(pooq)’의 부진도 VOD 가격 인상의 한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공중파 3사가 TV 및 모바일기기용 VOD 자체 서비스로 만든 푹은 케이블TV PP의 VOD 서비스인 티빙, IPTV의 다시보기 서비스 등에 밀리며 좀처럼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시청자들이 월 몇천원을 내며 ‘무한도전’이나 ‘뮤직뱅크’를 보는것 대신에 보다 저렴한 금액으로 ‘응답하라 1994’와 ‘Mnet’, 그리고 실시간 프로야구 방송 보기를 더 선호하는 까닭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푹의 수익성이 떨어지면서 그나마 돈벌이가 되는 IPTV 및 케이블TV VOD 가격 인상에 더욱 집착하는 모습”이라고 우려했다. 푹의 부실을 IPTV와 케이블TV를 압박해 만회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다. 일각에서는 실시간 채널 전송과 관련, 갑의 위치에 서 있는 지상파 방송사들이 그동안 난시청 해소와 방송 콘텐츠 시장 확대에 기여해온 유료 방송 플랫폼 사업자들의 노력에 무임승차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